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포와 공격성 나타내는 신경회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06.14
공포를 느끼거나 공격적인 행동에 관여하는 신경회로가 발견됐다. 앤드류 후버만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신경생물학과 교수팀은 75L짜리 용기에 쥐를 가두고, ... 등을 해결하는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
일자
에 실렸다. doi:10.1038/s41586-018-0078- ... ...
뇌에 붙이는 초박막 생분해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6.12
한미 공동 연구진이 체내에 삽입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전자 기기를 만들 핵심 소자를 개발했다. 안종현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 ...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7
일자
에 게재됐다 ... ...
우주에 다이아몬드로 둘러싸인 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2
입자가 주위를 원반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외계 항성계를 발견해 ‘네이처 천문학’ 11
일자
에 발표했다. 천문학계에서는 20여 년 전부터 우주에서 관측되는 AME라는 이상한 마이크로파의 정체를 놓고 논란이 있었다. 보통 마이크로파는 은하에서 나오지만, 이 마이크로파는 별에서 나왔다. 어떤 작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오리는 어떻게 서로 의사소통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이루는 감각세포의 전기신호를 비교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했다고 네이처 7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가오리와 상어는 모두 저전압 칼슘 채널을 이용해 전기신호 전달을 위한 세포 활동을 시작하고, 나트륨 채널로 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어의 일종인 ... ...
“한국, 태풍 취약 지역으로 가장 빨리 변모중”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열대성 저기압’ 7585건의 인공위성 관측 자료를 수집한 뒤 분석해 학술지 ‘네이처’ 6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전 세계 열대성 저기압의 이동 속도는 68년 사이에 10% 느려진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데 한국 등 동아시아의 태풍은 속도가 30%로 평균보다 훨씬 더 급격히 느려졌다. ... ...
과거 생명의 흔적? 35억 년 전 화성 암석에서 유기화합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농도가 계절에 따라 변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혔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스’ 8
일자
(현지 시간)에 두 편의 논문으로 발표됐다. 제니퍼 아이겐브로드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연구원팀은 큐리오시티의 토양 시료 분석기를 이용해 화성 적도 부근에서 발견한 암석 내부의 성분을 분석했다 ... ...
DNA로 만든 ‘팝업북’? DNA 블록으로 항암제 나르는 나노 전달체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18.06.10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레터스’ 5월 14
일자
에 발표됐다. 독일 뮌헨공대 연구팀이 만든 DNA 조립 나노구조. 톱니바퀴 모양을 하고 있다. 작은 V자 모양 구조를 이어 만들었다. - 사진 제공 뮌헨공대/네이처 독일 뮌헨공대 연구팀이 만든 입체 공 구조를 ... ...
[6.13선거 카운트다운]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을까
과학동아
l
2018.06.08
점점 떨어지며 기대치를 만족시켰습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인간행동’ 2018년 3월 12
일자
에 실렸습니다. (doi:10.1038/s41562-018-0315-6) *출처 : 과학동아 2018년 0 ... ...
음파 그대로 통과… ‘3D 음향투명망토’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교수 팀은 이런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 6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금속 메타물질로 만든 이 피라미드 구조체를 ‘음향투명망토(UACC)’라고 명명했다.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설계한 물질이다. ... ...
머리 큰 인류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2018.06.08
커졌다는 ‘사회적 뇌’ 가설 중 생태지능 가설이 맞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5월 23
일자
에 발표했다. -인류 초기 조상(왼쪽)과 현생인류의 두개골과 뇌 모형. -사진 제공 시카고대 특이한 것은 사회적 관계를 맺고 협력 또는 경쟁하는 게 외려 뇌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곤살레스포레로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