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투스교육] 국제 분업과 무역 & 자산 관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 국제 분업과 무역 교통과 통신의 발달, 금융 시장의 세계화,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확대 등으로 국가 간 무역이 확대되고 있다. 시공간을 초월한 거래를 통해 다양한 재화 및 서비스를 접할 수 있게 됐고, 삶의 만족도는 더욱 높아졌다. 소비자의 경우 다양한 상품을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리스의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가 ‘기하학 원론’이라는 평면 기하 교과서를 쓴 지 1700여 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미해결인 평면 기하 문제가 많습니다. 이번 호에 소개할 문제 역시 그중 하나입니다. 1950년 대학에 갓 입학한 새내기가 만든 문제로, 최근 영국의 생물학자인 아 ... ...
- [DJ CHO의 롤링수톤] 흥 부자들이 모이는 통계적 진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작은 키로 무대를 장악하며 축 처져 있던 사람도 흥겹게 만드는 음악 요정이 있습니다. 요정은알 앤비, 펑크, 레게 등 다양한 장르를 접목한 노래에 흥겨운 리듬과 멜로디를 더해 듣는 이로 하여금 온몸을 저절로 둠칫, 두둠칫 움직이게 하지요. 하와이에서 나타난 브루노 마스입니다. 미국 영화계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오늘 소개할 ‘마스터마인드’는 ‘스무고개’와 비슷한 방식으로 암호를 맞히는 게임이에요. 단, 스무 번이 아니라 보통 열두 번 만에 암호를 맞혀야 하니까 신중하게 임해야 해요! 오늘 소개할 게임은 상대방이 낸 암호를 맞히는 보드게임인 ‘마스터마인드’예요. 마스터마인드는 1970년 이 ...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우리가 살고 있는 건물을 미세먼지 사냥꾼으로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 거짓말이 아니야. 정말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도시에 ‘세워진’ 숲?식물은 잎에 있는 작은 구멍인 ‘기공’을 통해서 미세먼지를 잡을 수 있어요. 식물은 기공을 통해 체내의 수분을 대기 중으로 내보내는 ‘증산작 ...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 봤지? 우리 소똥구리는 생태계에 이렇게 쓸모가 많은 곤충이라고. 그런데 몽골 소똥구리가 한국으로 가면 서식 환경이 달라질 텐데 잘 살 수 있을까? 몽골 소똥구리와 토종 소똥구리는 한 가족!몽골에서 살고 있는 소똥구리를 우리나라에 복원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국립생물자원관과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게임 속으로 들어가고 싶다’고 생각한 적 있나요? 예전에는 상상 속에서나 가능했지만, 이제는 아닙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만 알면 누구나 들어갈 수 있거든요. 여러분한테만 특별히 알려줄 테니 잘 들으세요. “아이디는 ‘가상현실’, 패스워드는 ‘수학’!” 얼마 전 개봉한 영화 ‘레디 ... ...
-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처음엔 방송 사고인 줄 알았다. 진통제 광고인데, 가수 아이유가 시종일관 작게 속삭이기만 하는 게 아닌가. 찾아보니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자율감각 쾌락반응)’을 유도하는 광고라고 한다. ‘사각사각’ 연필로 글씨를 쓰는 소리, 바스락거리는 소리 등의 자극으로 기분을 좋게 만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올해 3월 18일 오후 10시(현지 시간) 미국 차량 공유 업체 우버의 자율주행자동차가 보행자 사망 사고를 낸 데 이어, 5일 만에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의 ‘모델 X’가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던 중 고속도로에서 사망 사고를 내면서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바닥에는 풍부한 공간이 있다(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1959년 12월 29일 캘리포니아공대에서 열린 미국물리학회에서 이런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 내용은 개별 원자와 분자를 조작하 는 과정에 대한 것이었다. 아직 물리학이 발견하지 못한 엄청나게 작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