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젤라틴이 주요 성분이에요. 젤라틴의 끈적한 성질 때문에 주로 가구 등을 붙이는 풀로 사용돼 왔지요. 이런 뜻이 ‘아교세포’라는 단어에도 녹아 있어요. 아교세포는 신경세포 사이를 메우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풀을 뜻하는 ‘아교’란 이름이 붙었지요. 영어로도 풀을 뜻하는 글루(Glue)에서 ... ...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인위적으로 노래를 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사용했어요. 광유전학 기술은 빛으로 특정 신경세포를 조절하는 기술을 말해요. 연구팀은 먼저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 ‘채널로돕신’ 유전자를 바이러스에 넣고, 바이러스를 뇌에 주입했어요. 그러자 뇌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자물쇠가 열리는 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해제할 수 있답니다. 생체 인식 방식은 다른 사람이 복제하기 힘들고, 특정 사람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요. 한 예로 사람의 홍채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암호의 수는 2266개로 지금까지 태어난 사람의 수보다 많아요. 즉, 홍채 인식을 이용해 다른 사람이 자물쇠를 열 가능성은 아주 낮은 거죠 ... ...
- 세계 최초 여성 우주인만의 유영 임무 완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중력이 약한 우주에서는 연골*이 늘어나는 등 체형이 변할 수 있어요.문제는 ISS에 사용할 수 있는 중형 우주복이 하나뿐이었다는 거예요. 맥클레인과 함께 유영을 하기로 했던 코흐도 중형을 입어야 했기 때문에, 맥클레인과의 동시 유영은 취소되고 말았어요. 결국 NASA는 10월 3일 ISS로 가는 우주선에 ... ...
- [과학뉴스] 뽀글뽀글, 합성가스 만들어내는 인공 나뭇잎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흔히 쓰이는 것들을 만들 때 쓰이지요. 문제는 합성가스를 만들 때 화석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는 거예요. 이에 라이스너 교수팀은 햇빛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합성가스를 만들어낼 수 있는 인공 나뭇잎을 생각했지요.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 나뭇잎은 물속에 담긴 채 ... ...
- [출동!기자단] 2019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이동민 선생님은 “유전자 정보를 알면 아픈 사람을 위한 약을 개발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고 추가 설명을 해주셨답니다. 이 외에도 기자단 친구들은 카이스트 로봇 부스에서 퍼피 로봇도 만들고, 국제과학교류전 부스에서 테슬라 코일이 연주하는 곡도 들었답니다. 윤수영 친구는 “기대했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이건 1m²의 면적에 자동차 약 6천 대를 쌓아놓은 무게와 비슷하답니다. 이번 탐사에 사용한 리미팅 팩터 잠수정은 엄청난 수압을 견디기 위해 강력한 강도를 자랑하는 ‘타이타늄 합금’으로 제작되었어요. 수심 1만 4000m의 수압까지 견딜 수 있으며, 16시간의 잠수가 가능하지요. 빅터 베스코보는 ... ...
- [과학뉴스] 사지마비 환자가 우뚝 일어선 비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했지요.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나비드 교수팀은 전선이 없는 무선 전극판을 사용하기로 했어요. 또 전극판을 뇌의 바깥쪽에 부착해 감염 위험을 최소화했지요. 교수팀은 먼저 환자가 팔과 다리를 움직이는 생각을 할 때 활성화되는 뇌 부위를 알아본 뒤, 그곳에 전극판을 연결했어요. 전극판은 ... ...
- [노벨화학상] 전지에 혁명이 일어나다, 리튬 이온 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있었지요. 1980년 존 구디너프 교수는 이황화타이타늄 대신 리튬코발트산화물(LiCoO2)을 사용해 전압을 높였어요. 리튬코발트산화물도 이황화타이타늄처럼 층상 구조인데, 두 배의 전압을 얻을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1985년 전지를 개발하는 회사에 다니고 있던 요시노 아키라 교수는 음극을 ... ...
- [만화뉴스] 지느러미로 싹쓸이? 혹등고래의 똑똑한 사냥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채 빠른 속도로 솟아 물고기를 떼로 잡아먹어요. 교수팀은 사냥에서 가슴지느러미가 사용된다는 점을 밝혔어요. 혹등고래가 솟아오를 때 가슴지느러미 하나로 물고기들을 입에 쓸어넣는 게 발견된 거예요. 뿐만 아니라 물고기 떼에 돌진할 때 가슴지느러미 안쪽의 하얀 부분을 드러내기도 했어요.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