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형태로 세상을 바라본다. 벌이 왜 에너지가 강한 자외선 영역을 인식하게 됐는지
정확
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 가지 색으로 보이는 꽃잎을 자외선 카메라로 보면 꿀이 있는 중앙으로 갈수록 짙어지기 때문에 꿀을 모으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꽃을 바라봐도 인간과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드물게 발견되기 때문이다. 복원과정에서 아래쪽에 숨어있는 그림의 존재를 알지 못하면
정확
한 복원 방식을 선택하기 어렵다. [지류 문화재 복원의 첫 단계는 클리닝이다. 브러시로 표면에 묻은 각종오염물과 먼지 등을 털어낸다. 하지만 회화작품, 특히 안료를 두껍게 칠한 불화는 칠이 떨어져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사실이 밝혀졌다. 코비 위성은 1992년에도 우주가 모든 방향에서 1000분의 1이상의
정확
도로 같은 비율로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려줬다. 이는 우주가 모든 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우주가 팽창하면서 물질이 균일하게 퍼지고 있으며, 팽창 과정에서 모든 방향에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무게는 모두 물체를 측정할 때 쓰는 용어지만 가끔씩 헷갈리기도 합니다. 둘을
정확
하게 구별하기 위해서는 부피를 이해해야 합니다.부피는 물체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말합니다. 부피가 크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부피가 작으면 공간을 조금 차지하지요. 가령 한 모서리의 길이가 1cm인 ... ...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팬들도 납득시킨다. 프랭크 밀러가 ‘두려움이 없는 사람’ 그린랜턴의 속성을
정확
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영화에 등장하는 가장 큰 적인 ‘두려움의 화신’ 패럴렉스가 원래 숙주로 삼은 사람도 원작에서는 할 조던 자신이었다. 할 조던은 자신이 살던 도시가 파괴되자 반지의 힘으로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위해 실험 방법을 수정해 재실험했다. •녹말/포도당 재실험의 개선점 - 포도당 실험에서
정확
성을 위해 식물(상록수와 상록수가 아닌 것)의 잎을 빻아서 실험했다. - 베네딕트 반응을 시킬 때 직접 가열했다. (전 실험에서는 물 중탕을 함) - 에탄올 탈색 기간을 20분에서 하루로 늘렸다. 개선된 실험을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략 세우기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자신의 객관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지원전략을 수립해야 하는데, 가장
정확
한 판단기준은 수능 모의고사 성적일 수밖에 없다. 단, 수시모집에서 합격을 하면 정시모집 지원이 제한되므로 수능 모의고사 성적이 안정적으로 나오는 학생이라면 성적 향상의 가능성까지 고려해 상향지원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계산한다. GPS를 이용할 경우 5~10m의 오차 범위에서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어 가장
정확
하게 위치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위성의 신호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실내에 있거나, 주변에 높은 빌딩, 큰 나무와 같은 장애물이 있으면 위치 확인이 어렵다. 위성에서 30초마다 보내는 신호를 받아 위치를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입자의 이동궤적을 크게 휘게 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지나가는 우주선 입자의 실체를
정확
하게 규명할 수 있다. 폴 디랙은 193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연설에서 우주 어딘가에는 반물질로 이뤄진 세상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 뒤 주류 물리학은 우주가 물질로 이뤄져 있다고 가정했으므로 ... ...
“과학동아 같이 멋진 잡지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기는것 같습니다. 특히 과학동아 4월호 구제역 침출수 기사는 신문과 TV보다 문제를
정확
하고 자세하게 진단해 좋았습니다.”동아리를 지도하고 있는 김보건 선생님은 돌아가는 길에 “과학동아 팀을 직접본 뒤 학생들이 멋진 잡지를 만들겠다는 열의가 커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