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결국 1과 5 사이의 값 안에서 이런 불규칙함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고 있기에 이 또한 하나의 규칙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어떤가요? 여러분은 이 작품에서 재즈의 향기가 느껴지나요? 재즈의 가장 큰 특징은 그때그때 다른 멜로디로 즉흥 연주하는 것인데, 특유의 리듬과 악기 소리로 이 음악이 ... ...
- 프랑켄슈타인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연구는 전신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의 머리에 신체를 이식하려는 ‘헤븐 프로젝트’의 하나예요. 머리에 신체를 이식하는 수술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아요. 먼저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해요. 나흥식 교수는 “목 주변의 피부, 인대, 신경, 혈관, 근육, 관절, 뼈 등을 연결하는 방법이 ...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먹이통에 새로 먹이를 채워주면 신나서 새장 곳곳을 총총 뛰어다니지요.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어요. 야채와 과일, 씨앗, 견과류가 골고루 섞인 먹이 중에 해바라기 씨만 쏙쏙 골라 먹지요. 편식하는 앵두, 이대로 둬도 괜찮을까요?” 편식하는 새를 바꿀 꿀팁 우리가 먹는 쌀밥처럼 씨앗과 ... ...
- [에디터노트] NASA와 여성, 그리고 노벨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불과하다. 최근 20년간 이 중 절반가량인 9명이 배출됐다는 게 그나마 긍정적이다. 사족 하나. NASA의 유튜브 생방송 중 오른쪽 실시간 채팅 창에는 ‘Earth is flat(지구는 편평하다)’이라는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었다. 과학동아가, 그리고 과학동아 독자들이 할 일이 여전히 많다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감식할 수 있다. 무게로 따지면 0.1ng(나노그램·1ng은 10억분의 1g) 수준이다. 볼펜으로 점 하나 찍은 크기의 핏방울이 현장에 남았다고 가정하면, 그 속에는 160개 정도의 백혈구가 존재하고, 그 안에는 약 1ng의 DNA가 들어있다. 다시 말해 이를 10배 희석해도 지금 기술로는 DNA 감식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리빙스턴과 워싱턴주 핸포드를 ‘ㄴ’자 모양으로 잇는 라이고 검출기는 팔 하나의 길이가 4km에 이르는 거대한 측정 장치다. 올해 과학계 최대 이슈로 꼽히는 블랙홀의 그림자 관측은 이런 흐름에서 물리학상 수상이 조심스럽게 점쳐졌다. 결과 발표 5개월만인 9월 ‘실리콘밸리 노벨상’으로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빠른 슈퍼컴퓨터도 동시에 정보를 처리할 수 없다”며 “디지털 정보의 특성상 한 번에 하나씩 값을 넣고 확인하도록 전산 알고리즘을 짤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1982년 미국의 저명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양자의 중첩 특성을 이용하면 새로운 전산 알고리즘을 만들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970년대 영국의 수학자 존콘웨이가 ‘생명 게임’이란 이름으로 다시 살려냈다. 노이만은 하나의 튜링 기계가 29개의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했지만, 콘웨이는 ‘삶, 죽음, 탄생’ 등 3가지의 상태만 가지도록 했다. 콘웨이가 고안한 생명 게임은 몇 가지 규칙이 있다. 규칙들을 따르다 보면 ... ...
- [오일러 프로젝트] 미션! 끈으로 피타고라스 삼각형을 만들어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피타고라스 삼조는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의 배수로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단 하나의 피타고라스 삼각형 만드는 길이는? 직각삼각형의 세 변 a, b, c의 합이 항상 같을 때 가능한 피타고라스 삼조는 몇 개 있을까? 예를 들어 세 변의 합이 12cm라면 (3, 4, 5)의 단 한 개의 피타고라스 삼조를 가진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힘이 나무 막대에 가해지지요. 그래서 막대기를 교차할 때 손으로 잘 잡아줘야 해요. 하나의 막대를 놓치기라도 하면 나머지 막대들이 도미노처럼 차례로 튀어 오르거든요. 마치 폭탄처럼 말이에요! 이때 구부러진 막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는 원래 상태에서 변화된 길이 정도와 비례해요. 예를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