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보호하기 위해 여러 폴들에게 전기를 쏘고 있었다.
하지
만 수십 명의 폴들은 멈출 생각을
하지
않았다.“어떻게
하지
?”폴은 갑자기 주사위가 떠올랐다.“이게 위급할 때 도움이 된다고 했는데….”폴은 주머니에서 주사위를 꺼내 무작정 바닥에 굴렸다. 주사위는 6이 나오고 폴들은 동시에 그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받고 있는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은 전범국가로서 탄도탄 개발을 꺼리는 분위기다.
하지
만 마음만 먹는다면 중장거리탄도탄부터 ICBM에 이르는 모든 탄도탄을 몇 년 사이에 수백 기 이상 제작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런 판단은 일본의 우주개발역사를 통해 내릴 수 있다. 일본이 개발한 ... ...
저절로 울리는 드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때문에 인식할 수 없다. 책상에 귀를 대고 두드려 보면 더 잘 들리는 것도 이 원리다.
하지
만 우리는 수영장에서 말할 때 들리지 않는 걸 느낄 수 있다. 분명 물이 공기보다는 밀도가 높은데 말이다. 이건 오류가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듣지 못하는 거다.적당한 소리의 진동이 드럼을 울리게 했다면,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실험을 세계 최대의 가속기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하지
않을까. LHC는 지난 1월 신의 입자라 부르는 ‘힉스 입자’를 찾기 위한 실험으로 유명세를 탄 바 있다. 고병원 교수는 “LHC는 에너지가 너무 강해 불필요한 무거운 입자들이 만들어져 오히려 암흑광자만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되어가고 있다. 물론 학습하는 인공지능은 인간만큼 학습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
만 한번 학습을 끝낸 인공지능이 만들어지면 복제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쓰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학습 기계가 어느 날 자신의 인권을 주장한다면 어떻게 될까. 일본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에는 스스로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악마’라는 이름을 붙였다.맥스웰은 48세로 요절하기 전까지 이 작은 악마를 끝내 퇴치
하지
못했다. 그러나 마의 눈을 가진 맥스웰의 악마도 끝내 열역학 제2법칙을 파괴하진 못했다. 맥스웰의 악마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증명으로는 1929년 헝가리 출신 물리학자 레오 질라르트가 제기한 ... ...
모든 비과학에 맞선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사라진다. 말장난 같지만, 도킨스 주장의 핵심을 요약하자면 대략 이렇다. “일어날 법
하지
않은 일이라면 그냥 일어나지 않으면 그만 아닌가? 왜 굳이 (기적이) 일어났다고 말하는가?”도킨스는 생물의 다양성과 진화, 천체의 특성,기상 현상의 원리 등 현실의 모습을 설명하며 거기에 얽힌 신화와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해당 자료를 상대 연구실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텔레프레전스’라는 말이 어색
하지
않겠죠?”김 교수의 연구실 한 곳에는 16개의 HD급 모니터가 한쪽 벽을 차지하고 있었다. 모니터 위에는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있다. 다른 실험실에도 같은 시설이 있다면 16개의 모니터를 통해 유리로 된 벽을 ... ...
손 대면 톡 하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겁니다. 원래는 여자가 남자보다 비언어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거든요.
하지
만 여자의 속마음이 어떻든 처음에는 남자가 2배 가까이 적극적이라는 결과를 본 소년은 혹시 자기가 너무 소심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년은 이러다가 계속 이대로 정체될까봐 두려웠습니다. ... ...
과학영재·글로벌 리더 ‘더’ 뽑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예정입니다. 이것으로 문제의 구성과 유형을 참고하면 됩니다. 난이도를 지나치게 높게
하지
않은 것은 학교 교과과정에 충실한 학생을 뽑기 위해서입니다. 두 문제가 제시되며, 학생의 수학능력을 평가하고자 합니다. 처음에는 긴장을 풀 수 있도록 간단한 개념문제를 묻고 본격적으로 난이도가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