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도
정확성
d라이브러리
"
정확도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5호’가 올해 러시아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아리랑5호는 국내 최초의 영상레이더위성으로 밤에도, 비가 오는 날에도 지상을 촬영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위성 개발에 참여한 신재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직접 아리랑5호를 소개한다.‘다목적실용위성5호’는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물리학자들은 대칭성을 통해서 세상을 본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질서는 물질 세계의 근본에 숨어있는 대칭성이 드러난 결과다. 그러나 현실 세계를 보면 대칭성은 대부분 깨진 상태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덕분에 우리는 대칭성만 존재할 때보다 더 풍부한 자연 현상을 본다.물리학자 베르너 하이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게보린’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게보린의 주성분에서 치명적인 부작용이 발견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식약청은 15세 미만 소아에게 투여를 금지시키고 제약회사에 안전성을 입증하라는 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TV에서는 여전히 이들 상품에 대한 광고가 나와 국민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 비가 와도 홍수 걱정 끝하천을 유지 관리하고 홍수 피해에 미리 대비하기 위해서는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수시로 변하는 물의 양을 사람이 실시간으로 측정하기는 현실상 어렵다.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여름을 앞두고 황당맨은 이 일을 자동으로 처 ... ...
사람의 마음, '수학공식' 으로 나타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수학공식 하면 정확한 값을 대입해야 한다는 생각이 먼저 떠오른다. 그런데 우리나라 과학자가 정확한 값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기억이나 정신을 수학공식으로 나타낸 연구결과를 내놓았다.5월 3일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부 신창수 교수는 사람의 기억과 정신(마음)을 수학적으로 연구한 논문을‘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그러나 tDCS는 이런 기술이 없다. 지금은 대상 부위 인근에 전류를 흘리는 수준이라
정확도
가 떨어진다. 또 머리에 화상과 근육경련을 막기 위해 붙이는 전극은 가로, 세로 5cm로 너무 크다. 따라서 뇌의 여러 부위가 복합적으로 자극되기도 한다. 임 교수는 tDCS도 TMS처럼 영상을 이용해 전극을 붙일 ... ...
“과학동아 같이 멋진 잡지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서울 영동고 창의학술잡지부 학생 25명이 5월 4일 과학동아를 방문했다. 영동고 창의학술잡지부는 지난 3월 새로 생긴 동아리로, 교내 잡지 1호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도대체 무엇을 기사로 써야 할지 모르겠습니다.”2학년 서우빈 군은 어떻게 기사를 기획해야 할지를 물었다.“기사를 쓸 때 가 ... ...
온화한 빛의 화가 베르메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좋은 그림은 어떤 그림일까요? 명화라고 불리는 그림은 자세히 보면 세부적인 묘사가 뛰어나고, 멀리서 보면 그림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어요. 베르메르의 작품도 무척 세밀해서 한번 만져 보고 싶은 생각이 들 정도랍니다. 함께 살펴볼까요? 따뜻한 온기를 그리다베르메르 ... ...
국산 수학교구, 미국 최대 수학교육컨퍼런스에서 주목받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클라인병은 뫼비우스 띠 2개로 구성돼 있습니다”지난 4월 16일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린 미국수학교육컨퍼런스에서 4D창의연구소 박호걸 소장은 4D프레임을 활용해 클라인병의 성질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강연했다. 미국수학교육컨퍼런스는 미국수학교사협의회(NCTM)가 주관하는 가장 큰 ... ...
[수학동아, 도서관에 가다]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지난 호에 이어 수학동아가 도서관으로 찾아간 그 두 번째 이야기. 아직도 기자의 팔을 잡아당기며 매주 수업하고 싶다던 학생들의 모습이 눈에 선하네요. 이번 MIE(Magazine In Education) 수업은 조금 특별한 만남이었습니다. 아마도 수학동아 독자들 중 가장 어린 독자들일 거예요.지난 4월 12일, 서울시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