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잠 못이루는 열대야의 원인 습도 잡는 신개념 제습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04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이용해 제습한다. 단 제습기는 공기가 차가운
표면
을 만들기 위해 열을 뽑아내는 응축기도 통과하기 때문에 더 뜨거워져서 나오고, 에어컨은 응축기가 실외기 형태로 분리돼 있어 차가운 공기가 그대로 나와 온도가 떨어지는 차이가 있다. 밀폐공간에서 ... ...
’날 먹지마’ 애원하는 암 세포 단백질 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4’를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난달 31일자에 발표했다. 암세포
표면
에서 면역세포에게 신호를 보내는 단백질에는 PD-L1, CD47가 있다. 연구진은 이들 단백질 외에도 ‘날 먹지마’ 신호를 보내는 단백질이 더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암 세포가 성장할 때 가장 많이 분비되는 ... ...
'겉모습은 독사 이빨 같지만'…통증 없는 약물 전달 패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독샘을 지닌 독사와 달리, 뒷어금니 독사는 독을 밀어내는 근육이 없다. 대신 어금니
표면
에 세로로 미세한 홈이 있어 상대의 피부를 물면 어금니 홈과 피부 사이에 미세한 구멍을 만든다. 이 구멍은 액체가 저절로 좁은 틈에 빨려 들어가도록 이끈다(모세관현상). 그 결과 아무런 외부 힘을 가하지 ... ...
그래핀을 초전도체로 만드는 마법의 각 1.1도, 원인 규명에 한 걸음 더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얽힘의 유형을 밝혀내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우리는 이제 미지의 영역의
표면
을 실험과 이론 모델링을 통해 긁기 시작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 ...
73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외계행성 3개 동시 발견… 생존 가능 행성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숫자는 발견한 순서를 뜻한다. TOI 270은 크기와 질량 모두 태양보다 약 40% 작고 태양
표면
온도의 3분의 2 수준의 M형 적색왜성이다. 적색왜성은 태양보다 질량이 작은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중심온도가 낮고 빛도 약한 행성이다. M형은 적색왜성 중 가장 온도가 낮은 행성을 뜻한다. TOI 270은 ... ...
초소형 회로제작에 쓰이는 '나노와이어' 배치·정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녹인 후 방향성 오스트왈드 라이프닝 현상에 따라 액체방울이 특정 방향으로
표면
에 스스로 정렬하게 된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최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이제까지 알기 어려웠던 산화바나듐 단결정 생성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며 “다양한 종류의 단결정 산화바나듐 나노와이어를 ... ...
日소행성탐사선 '하야부사2, 류구 샘플 채취 순간 포착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호는 튀어오른 모래와 돌 등을 캡슐에 채취한다. JAXA 제공 탄환을 통해 튀어오른 류구
표면
의 돌과 모래의 모습이다. JAXA 제공 하야부사2는 올해 말까지 류구 추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추가 조사를 끝낸 직후 지구로의 귀환길에 올해 내년 말에 류구의 돌과 모래 등을 담고 돌아올 ... ...
백금보다 높은 수소 생산효율 가진 루테늄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3월 28일 온라인판으로 발표됐다. 연구팀은 질소가 첨가된 그래핀에 루테늄 단일원자와
표면
을 단단하게 만든 루테늄 나노입자들을 혼합시켰다. UNIST 제공 ... ...
값싼 메탄 고부가가치 에틸렌으로 바꿔주는 촉매, 노트북으로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통해 일일이 촉매 후보물질을 찾는 대신 컴퓨터를 이용해 후보물질을 설계하고 물질
표면
에서의 메탄 변화를 예측했다. 실험실에서 하나의 촉매를 합성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화학반응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한 달 가까이 걸린다. 대신 연구팀은 물질의 전자 구조를 양자역학적으로 ... ...
韓美연구팀, 휘어지고 늘어나도 성능 안 떨어지는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고무줄처럼 늘어나는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또 개발한 전극을 번갈아 쌓아 올려 전극의
표면
뿐 아니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수직방향으로 전기가 흐르도록 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전극을 리튬 이차전지에 적용한 결과, 배터리 길이가 30%이상 늘어나도 안정성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김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