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다른사람"(으)로 총 3,0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7.04.09
- 이번 주 네이처(4월 5일자) 표지는 모기의 날갯짓에서 확인할 수 있는 ‘소용돌이’ 현상을 소개했습니다. 모기가 날갯짓으로 만들어 내는 공기 흐름의 순간적인 방향성을 묘사했습니다. 영국 런던 왕립수의대학 운동구조연구실 소속 동물학자 리자드 봄프리와 공동연구팀은 모기가 비슷한 크기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그룹리더 조윤경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인터뷰- Q: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스티브 그래닉(Steve Granick) 단장과의 인연이 각별한 것 같습니다. A: 그래닉 교수님과의 인연은 미국 유학시절 시작되었습니다. 일리노이대 어바나 샴페인 캠퍼스 재료공학과 박사 시절, 학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2017.04.04
- 물은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을 나타내지만, 산소는 그 가능성이 실현되었음을 뜻한다. 오직 생물만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산소를 많든 적든 공기 중에 내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닉 레인, ‘산소’에서 게놈 데이터가 만능은 아니지만 많은 경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해묵은 논쟁을 끝내기도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오랫동안 우울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통제감은 낮게 느끼면서 죄책감은 높게 보이는 패러독스를 보인다고 한다(Abramson & Sackheim, 1977). 즉 자신이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고 느끼는 동시에 ‘이게 다 나 때문’이라고 느낀다는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 게 없었다면 나를 ...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2017.03.25
- 고등학교 때부터 만성적으로 적게 자는데 익숙해진 한국인들에게는 잠이 모자란 것 정도는 아무 일도 아닌 것 같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GIB 제공 예컨대 잠이 모자란 사람들은 ‘건강’도 나쁘고 살도 더 잘 찐다. 잠이 모자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식욕’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예리한 관찰과 정밀한 실험이 잘 알려진 단백질의 예상치 못한 기능을 밝힐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리처드 팔미터 1950년대 미국 잭슨연구소의 연구자들은 특이한 돌연변이 생쥐를 얻었다. 이들은 식욕을 주체하지 못해 고도비만이 된 이 녀석에게 뚱보(obese)라는 이름을 붙여줬고 줄여서 ob생 ...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2017.03.14
- 2007년 12월 중국 허난성 쉬창현 링징 마을의 들판에서 척추동물고고학고인류학연구소(IVPP)의 고고학자 리장양 박사는 10만여 년 전 구석기시대의 도구들을 발굴하고 있었다. 짐을 싸고 철수할 무렵 석영으로 된 아름다운 석기(石器)를 발굴하자 일정을 이틀 늘렸다. 그리고 마지막 날 아침 아쉬운 마 ...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사이언스 제공 세포핵을 가진 최초의 인공생명체 개발이 전환점을 돌았다. 국제 공동 연구진이 유전체 정보를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레시피’를 완성하고, 목표로 한 효모 게놈 16개 중 5개를 추가 합성했다. 미국, 중국, 프랑스, 영국 등 200여 명으로 구성된 ‘효모 합성유전체 프로젝트(Sc2.0 ...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2017.03.12
- 성폭력은 보통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당사자의 의지와 상관 없이 신체적 힘 또는 권력 등을 이용해 원치 않는 성적 관심을 쏟거나, 신체 부위를 만지거나, 성적 행위를 강요하는 모든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행위”. 성폭력은 욕구의 해소 못지 않게 타인의 몸과 마음을 통제함으로써 통제감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Q: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을 소개해주시기 바랍니다. A: 연구단은 '몸속에서 살고 있는 미생물이 우리 면역계를 어떻게 조절하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찾고자 합니다. 찰스 서 단장은 특히 음식물이 우리 몸의 면역계 발달과 반응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에 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식물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