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아들
외동아들
외독자
reader
독서가
낭독자
독신
d라이브러리
"
독자
"(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후 1억년이 넘도록 오랜 세월동안 외부와 별 내왕이 없었으므로 그곳에 살아온 동식물은
독자
적으로 진화돼 왔다. 그래서 현재 뉴질랜드가 원산인 동식물에는 원초 대륙 곤드와나에서 유래된 것이 있고, 이미 다른 대륙에서는 다 소멸된 옛 지질시대의 동식물들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이 있다. ... ...
나에게 꼭 맞는 칫솔 치약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구강상태에 알맞는지 잘 선택하기가 어렵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들을 중심으로
독자
들에게 권장할만한 구강위생용품과 그 근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손잡이는 직선형이어야먼저 칫솔의 경우 손잡이가 직선형이거나 앞쪽으로 약간 구부러진 형태가 권장된다. 또 칫솔모단의 모양이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연구개발에 대한 세계적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21세기 교통관제시스템을
독자
들과 함께 상상해보고자 한다. 기본은 교통신호제어종합교통관제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교통신호시스템이다. 전자화된 신호기는 1980년대 초반에 서울에 처음 설치된 이후로 오늘날 부산 대구 인천 등의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주관 아래 삼성 현대 금성 등 반도체 3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삼성이 마치
독자
적으로 개발한 것처럼 발표해 현대 등 나머지 기업들이 반발하는 촌극을 빚었다. 괄목할 만한 첨단기술을 개발하고도 기업들끼리 서로 공을 다투어 그 성과가 오히려 퇴색했다는 느낌을 주었다.우리나라는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값이 0이 아닌 매우 큰 값을 가질 수 있다는 결론도 나온다.그렇다면 여기서 이렇게 묻는
독자
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0이 아닌 우주상수의 값을 도입했던 아인슈타인과 드 지터의 시도가 맞았다는 소리가 아닌가? 물론 이는 아니다. 아인슈타인과 드지터가 도입했던 우주상수의 항은 그저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기술적 문제가 해결됐거나 조만간 성공이 기대되는 항목들은 수없이 많은데, 그중
독자
의 관심을 끌만 한 몇가지 보기를 들면 아래와 같다.첫째로 씨없는 포도를 꼽을 수 있다. 씨없는 포도나 참외 수박은 누구나 좋아할 것이다. 씨가 어느 정도 발달한 후 단단해지기 전에 그 발달을 정지시키면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부상과 추진시험이 가능한 모형제작의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대우중공업이
독자
모델개발을 선언한 배경에는, 그동안 국내 차량사업을 현대정공과 더불어 양분해온 대우중공업이 차세대 교통기관의 경쟁에서 결코 뒤질 수 없다는 자존심이 짙게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우선 대우측에서는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초은하단과 더 큰 우주의 구조에 관해서 궁금하게 생각하는
독자
는 은하들의 세계를 특집으로 다룬 '과학 동아' 92년 7월호를 참고하기 바란다. 팽창하는 우주1929년 허블은 윌슨(Wilson) 산 천문대의 망원경을 사용해 은하들을 관측한 결과 놀라운 우주의 비밀을 발견했다. 모든 ... ...
축구공의 무늬는 모두 몇 개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대해 폭넓게 잘 정리해 놓고 있다.좀 더 편한 마음으로 대할 수 있는 이 문제를 보자.
독자
들은 어떻게 느꼈을까? 이 문제의 얼굴들은 좌우대칭이지만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에게는 B가 더 행복한 얼굴이라고 느껴지고 왼손잡이에게는 그 반대라는 것이다. 왜 그럴까? 정확한 답은 1977년에 출간된, 이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알기 위해서는 화학과 생물공학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각 과학분야가
독자
적인 영역에만 머물러 있었다. 다른 과학분야와의 미미한 교류로 인해 본격적으로 효소산업을 구축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둘째로 알려진 효소의 수가 얼마 안된다. 모든 생물의 세포내에서는 수천수만의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