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몇 방울만이라도…! 상부 조간대
지구
상에 수많은 조간대는 각기 환경이 다르긴 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해안선을 기준으로 어느 높이인지에 따라 살고 있는 생물 종이 다르다는 것 이지요. 바닷물이 잘 닿지 않는 상부, 규칙적으로 물이 차고 빠지는 중부, 대부분의 시간 동안 물에 잠겨 ... ...
[과학뉴스]
지구
대기 속 제논의 고향은 혜성?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지구
의 제논 동위원소의 비율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지구
대기에 존재하는 제논의 22%가량이 혜성에서 왔을 거라고 추정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스’ 6월 9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l349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것에 대해 곽 랩장은 “중국처럼 땅이 넓어 광통신망이 없는 지역에서 쓰거나 미래에 전
지구
적인 양자통신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양자통신위성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올해 4월 발간한 보고서에서 2025년 양자기술과 관련한 시장이 2000조 원이며, 그로 인한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봄 소식을 전하는히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자생지가 추가로 발견되면서 2012년 해제됐지요.하지만 특산종은 우리나라에서 사라지면
지구
상에서 멸종해 버려요. 그래서 여전히 국제적으로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답니다. 무분별한 벌목으로 인해 히어리의 서식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지켜 주세요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세밀하게 측정한 결과를 함께 발표했다.볼턴 연구원은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사실들은
지구
를 뒤흔들 만한, 아니 목성을 뒤흔들 만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doi:10.1126/science.aal210 ...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공동연구팀이 대기의 전리층을 분석해서 쓰나미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다.전리층은
지구
대기에서 약 80~1000km에 이르는 층을 말하는데, 태양복사와 우주선(Cosmic Ray)에 의해 대기 분자들이 이온화돼 있다. 지진에 의해 쓰나미가 발생하면 이 지역의 상층부 전리층에서 교란이 생긴다. 쓰나미가 ...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이름을 합성해서 ‘발바라(카프발+필바라)’라고 부른다. 이처럼 광물, 특별히 철은
지구
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는 자연의 박물관이다.이지섭_director@naturehistory.com광물 수집가이자 이야기꾼. 현재 희귀광물 3000여 점을 전시하는 ‘민 자연사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삼성전자에서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겁니다. 몇 주 뒤 가스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한 황산염 에어로졸로 바뀌어 전
지구
에 실안개 층을 형성했을 거고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볼 때 성층권의 안개 층은 널리 뻗어 나갔을 겁니다. ‘절규’에 그려진 물결 무늬와는 다르게요. 실제로 1883년과 1884년 유럽과 북미에 나타난 색다른 ... ...
[게임카페] 장애물 피해 폴짝! 런 게임 上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탐사하던 우주선이 고장 나면서 다급하게 외계인이우주선을 탈출 했어요. 이후 우주선은
지구
어딘가에 떨어졌어요.외계인은 추락한 우주선을 찾기 위해 이곳저곳을 뛰어다니면서 모험을 시작해요. 엔드리스 러너는 외계인의 모습인 플레이어 캐릭터가 장애물을 피해 점프하는 게임이에요. ... ...
[Career] 노벨상 꿈나무들,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모여 2차 예선을 치렀다. 그리고 이달 초 본선에 진출할 20개 팀이 추려졌다.
지구
를 살리는 기발한 연구“미래의 노벨상은 그동안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부터 나올 것입니다.” 대회의 심사위원장을 맡은 김은기 인하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2차 예선을 위해 모인 참가자들에게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