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소
sasso
d라이브러리
"
사소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세포 상호 의
사소
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06
개미'를 보면 소설의 주인공격인 개미들은 모든 의
사소
통을 페로몬으로 함을 알 수 있다.
사소
한 의사전달에서부터 사회행동의 조절, 알의 부화까지, 이들의 사회에서 페로몬은 인간세계에서의 언어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매체다.페로몬은 우선 곤충의 성행동, 즉 암컷이 수컷을 유인해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11
발견하여 노벨상을 수상한 펜지아스(A. Penzias)와 윌슨(Wilson) 역시 안테나의 미세한 잡음을
사소
한 것으로 여기지 않고 안테나에 쌓인 비둘기똥까지 치우는 노력끝에 현대우주론의 최대성과인 우주배경복사선 추적에 성공했다. 적당함을 싫어하는 그들의 정신력에서 나온 업적이다.비슷한 이야기는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10
형식적인 변화로 들 수 있는 것은 4지선다형 시험에서 5지선다형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사소
한 변화 같지만 우연히 답을 맞출 확률이 줄어들면서 수험생들의 요행심리를 견제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변화로 평가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틀린 답을 고르면 1/5 감점제까지 채택하자는 의견이 ... ...
PC 이상작동 응급처치 요령
과학동아
l
199305
수밖에 없다.이렇듯 컴퓨터가 '파업'을 선언해 버리게 되면 대부분의 초보자들은
사소
한 고장이든 심각한 고장이든 구분하지 않고 무조건 구입처에 수리를 의뢰하기 일쑤다. 심지어는 모니터의 케이블이 빠진 것도 점검하지 않고 "컴퓨터를 켜도 화면에 아무 것도 안나와요"라고 하면서 고장으로 ... ...
대형사고 유발하는 소프트웨어 버그
과학동아
l
199302
나타난다. 버그가 발생하는 원인은 대부분 복잡함 때문이다. 소프트웨어가 복잡해질수록
사소
한 설계불량이 최종제품에 미치는 영향은 커진다.기존의 공학기술은 기계적인 결함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는 데는 장족의 발전을 보였지만 컴퓨터를 내장한 기계제품의 결함에는 속수무책인 경우가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08
스트레스들을 이겨나가게 되지만 이 면역계통이 약해져 우리 몸의 방어력이 떨어지면
사소
한 세균이나 단 한개의 암세포 혹은 남들이 보기에는 그리 크지 않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쉽게 무너지게 되는 것이다.그런데 바로 이 면역계통은 마음 혹은 정신에 의해서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마음과 정신의 ... ...
1. 책상위에서 모든작업 「완료」
과학동아
l
199208
고품위DTP 프로그램의 등장은 이러한 출판작업 환경에 일대 변혁을 가져 왔다. 아무리
사소
한 출력물이라도 사식집과 출력소를 거쳐야 가능하던 것을 편집자의 책상위에서 가능토록 했기 때문이다. 인화지 출력, 대지 작업, 제판을 DTP 프로그램 내에서 통일성 있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 DTP의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05
익숙해진 연필과 종이 정도로 편해질 것이다.위대한 발명이나 원리도 그 시초는 아주
사소
한 데서 시작되었듯이 그래픽도 실상은 심심풀이 장난(?)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최초의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래머는 오실로스코프로 컴퓨터를 진단하는 기사였다. 컴퓨터의 입출력이 모두 천공카드나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02
과목도 착실히 해야한다. 발명에는 아주 종합적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그리고
사소
한 것도 관찰해보고 생각해보며 기록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주전자뚜껑이 수증기에 들썩거리는 것을 보고 증기기관을 발명하지 않았다던가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01
포기해버리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과학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만큼 그 이면에는 실로
사소
한 문제가 해결되고 있지 않으며, 그것을 해결해야 할 사람은 과학자가 아닌 보통사람들이란 것을 깨달아야 한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는 수만가지의 크고 작은 물건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수만가지의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