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키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제시하는 국제줄기세포연구학회(ISSCR)에서는 사람-동물 키메라 배아에 있는 사람 세포가
뇌
를 포함한 신경계로 발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연구에 추가적인 감독이 필요하다고 권고하고 있어요. 국가생명윤리정책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구자들도 현재 보편적으로 국제줄기세포연구학회의 지침을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처음 읽는 2차 전지 이야기 오늘도 바쁘게 돌아가는 과학동아 편집실. 과연 기자와 디자이너들은 몇 개의 배터리(전지)를 사용하고 있는지 한 번 세어봤 ... 가장 복잡한 존재다. 두툼한 책의 마지막 장에 닿으면 깨닫게 될 것이다. 여전히 우리는
뇌
에 관해 밝혀야 할 게 많다는 사실을 ... ...
[SF소설] 바키타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2배에서 2.5배 정도 컸습니다. 머리둘레는 저와 크게 다르지 않았는데 좋은 징조입니다.
뇌
의 활동량이 우리와 다르지 않다는 걸로 받아들여집니다. 실제로 우리 사이의 장벽은 언어로 인해 소통이 힘들다는 것 빼고는 문제없었습니다. 이들은 제가 야생초를 씹지 못하자 불을 피웠고 보관해 뒀던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한
뇌
관련 학회에서는 매년 ‘세계 착시 대회’를 개최합니다. 착시는 시각 정보를
뇌
에서 잘못 파악하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라 연구 가치가 있거든요. 얼마 전 2020년 대회 수상작이 공개되었습니다. 1등은 이전에도 여러 번 수상한 전통의 강호, 일본 메이지대학교의 코키치 스기하라 교수가 만든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반응하기 때문에 삐침 하나로 상품의 성패가 결정될 수도 있다”며 “글꼴의 조형미에
뇌
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해서는 밝혀야 할 것이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 ...
[한페이지 뉴스] 세로토닌이 코카인 중독을 막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abi9086 코카인은 마약의 한 종류로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도파민의 재흡수를 차단해
뇌
속에서 이들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 결과 행복감을 강렬하게 느끼게 되고, 이런 효과로 코카인에 중독된다.연구팀은 코카인 중독성을 파악하기 위해 쥐에게 스스로 코카인을 투여하는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과학으로 어루만지는 마음의 병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뇌
공학자들과 공동연구도 하고 있다.
뇌
공학은
뇌
활성도를 실시간 분석하도록 돕는 등
뇌
연구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마이크로 로봇을 이용한 약물전달 기술이나 신경전달물질을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기술은 정신 질환을 개선하거나 치료하고, 관련 기초연구를 하기 위한 도구가 되고 ... ...
[한페이지 뉴스] VR 속 초파리의 ‘워킹’이 밝힌 시각과 보행능력의 관계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한편 자세안정화시스템은 자세 자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것이다. 시야를 가리자
뇌
는 두 시스템 중 자세안정화시스템에만 의지했다. 그 결과 목표물의 방향으로 시선을 두지 못한 채 가장 안정하기만 한 자세를 취하게 되고 결국 일직선으로 걷지 않고 옆으로 움직이게 된다.치아페 연구원은 ... ...
[SF 소설] 화성의 칼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화성과의 유의미한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열심히 노력한다면 지구에 온 개별 인공 두
뇌
와는 대화할 수 있었지만, 꾸준히 침략군을 보내는 화성 시스템은 수많은 대화 시도에도 불구하고 침묵을 지켰다. 종종 진짜 화성인 또는 그들이 남긴 기계가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신호가 잡혔지만, 대화는 ... ...
[특집] 고수의 조언 3. 마음 담은 편지를 써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약 40분 후에는 잘못된 문장을 만드는 확률이 3% 정도까지 낮아졌지요.연구팀은 “
뇌
파를 문장으로 바꿔주는 기술이 개발되면 사고나 질병으로 말을 할 수 없게 된 사람들에게 새로운 삶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답니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