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지도교수 몰래 표절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못한 것은 논문 지도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에서 표절을 찾는
시스템
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윤 교수는 “학술대회 논문은 마감 기한이 촌각을 다투는데다 논문을 받아주는 쪽에서 표절을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 관행이어서 확인하지 못했다”고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모델이라도 이전 사용자가 추가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개체 차이가 존재했다. 대량 생산
시스템
의 편리성에 길들여졌으면서도 사람은 고유성을 갈망했다. 외형을 꾸미고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면서 개성을 부여했다. 앵무새에게는 말을 가르칠 수 있었다. 학습 속도는 그녀가 정하면 되었다 ... ...
[특집] 황금책은 어디에?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쓰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정치학은 320번대로 구분하고, 정치학 중에서도 ‘정부, 국가
시스템
’ 관련 책은 321번, ‘사회단체와 정부 관계’ 관련 책은 322번을 붙여요. 우리나라 도서관은 대부분 DDC를 우리나라에 맞게 바꾼 ‘한국십진분류법(KDC)’을 써요. DDC에서는 400번인 언어학이 KDC에서는 70 ... ...
[스승이 말하는 허준이 교수] 겸손하고 따뜻하지만, 연구 앞에서는 밤잠 설치는 완벽주의자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조력이 있었습니다. 한국에서 자랐고 교육받는 동안. 우리의 세금으로 교육했고 우리
시스템
을 발판으로 도약했습니다. 서울대와 한국 수학계의 연구 역량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허 교수가 있었을까요? 오늘의 허 교수의 성공은 앞으로 한국 수학계가 배출할 수많은 성공 사례의 시작이 될 것입니다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바로 반도체 전문가가 되는 것은 아니다. 김병성 교수는 “학부를 졸업한다고 바로
시스템
집적 회로(IC)나 메모리를 설계할 수 있는 건 아니다”고 말했다. AI 반도체도 마찬가지다. 김 교수는 학부 과정에서 반도체와 AI를 결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은 전 세계에 없다고 설명했다. AI와 반도체를 ... ...
[Bridge]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경쟁국 수준의 지원책을 마련하려 하고 있다. 지역균형발전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Q.
시스템
반도체를 키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반도체 산업의 시작이자 끝은 인재다. 대만은 설계인력이 25만 명인데 한국은 1만 명 수준이다. 중소형기업이 대부분인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의 ... ...
[기획] ‘가라앉지 않는 배’ 타이타닉 어쩌다 가라앉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영하 2℃ 정도로 차갑던 바닷물 온도도 철이 쉽게 파괴되도록 만들었어요. 각종 안전
시스템
의 부재도 인명피해를 키웠습니다. 타이타닉호 선체 아래는 구역이 나뉘어진 ‘격벽 구조’로 이뤄졌는데, 각 격벽이 천장까지 완벽히 격리되지 않아 침수된 물이 연쇄적으로 다른 구역까지 차올랐습니다. ... ...
[논문탐독] 다양성과 혁신이 이끄는 도시의 진화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찾아내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네트워크 과학 덕분이죠. 네트워크 과학은 복잡한
시스템
을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방법입니다.그동안 네트워크 과학을 접목한 도시 연구는 교통에 국한돼 왔습니다. 도로를 어떻게 배치해야 차가 덜 막힐지 등을 연구하는 데 네트워크 과학이 ... ...
10년 뒤에도 잘 나갈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영향을 미칠 또 다른 가능성도 있다. 현재 반도체 시장을 양분하는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는 모두 실리콘반도체에 포함된다. 반도체에 사용하는 주재료가 실리콘이라서다. 일각에서는 실리콘반도체의 미세공정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소자의 간격이 nm(나노미터·1nm는 1 ... ...
[수학뉴스] 새들이 무리에서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이렇게 무리 지어 움직일 수 있는 비결이 수학적으로 밝혀졌어요. 이탈리아의 복합
시스템
연구소와 IMT 고등연구소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은 새 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어 분석했어요. 연구팀은 새들의 ‘한계 속도’에 집중했어요. 한계 속도란 물리적인 이유 때문에 넘을 수 없는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