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첫 인공수정란 합성, 배아 연구 윤리 규정 바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환영했다. 생명윤리학계 역시 5월 말, 배아 연구를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을 완화했다. 연구실에서 만든 배반포 유사체배반포는 포유류의 초기 발생 과정에서 난할이 끝난 상태를 말한다. 난자가 정자에 들어와 수정란이 만들어지면 체세포 분열을 통해 세포가 2의 제곱수로 분열한다. 수정 뒤 약 ... ...
- [특집] 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가죽 가공에 사용되는) 석유 화학 제품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모피도 연구실에서 구현됐다.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연구팀은 2016년 보들보들한 모피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선보였다. 연구팀은 5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분의 1m) 두께의 구조물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로봇공학전공, 초음파 영상에 '접묘법'을 들이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의료영상 기술에 접목하고 있습니다.”3월 2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의생명 초음파 연구실에서 만난 유재석 로봇공학전공 교수가 마치 미술작품처럼 보이는 영상을 소개하며 이렇게 말했다. 영상 속에는 수많은 점이 모여 그려낸 혈관이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움직이고 있었다. 점으로 찍어 ... ...
-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수학동아 l2021년 06호
- 해보고, 기하학적 아이디어를 그림으로도 그려보고, 칠판에 쓰면서 생각해보기도 하고, 연구실 소파 위에서 뒹굴며, 집안을 계속 서성이며, 밖으로 나가 오랫동안 산책하면서,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하지만 실마리가 보이지 않았다. 아이디어가 그렇게 잘 맞아떨어지는데 안 풀린다니! 여러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셈”이라고 설명했다. 유전체 비교 분석을 수행한 이철 서울대 생물정보 및 집단유전학연구실 연구원은 “유전체를 100 염기쌍 크기로 쪼개 봤을 때 GC(구아닌-사이토신) 함량이 높은 영역일수록 허위 소실 오류가 많아졌다”며 “이런 허위 소실 오류와 허위 중복 오류를 수량화하고 원인을 밝힌 ... ...
- [인터뷰] “에너지 문제 해결해 고국 과학기술 발전 이끌겠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새로운 조력자이자 스승을 만나 재능을 펼칠 기회를 잡았다. KIST 에너지소재 공정연구실장이기도 한 이중기 UST-KIST 스쿨 교수는 엥가르 연구원의 지도교수를 맡아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반도체 접목해 전기차 배터리 화재 막는다이런 배경에서 엥가르 연구원은 최근에 눈에 띄는 성과를 ... ...
- [특집]생물 주권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어흥~, 과일 하나 먹으면 안 잡아먹지! 호랑이 농부가 만든 다양한 과일들을 맛보렴. 딸기가 왜 태극기를 들고 있냐고? 우리나라 과일이 생물주권을 지키기 위해 독립운동을 하고 있어. 생물주권을 지키는 길, 함께 따라오라흥!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생물주권을 지켜라!Part1. 딸 ... ...
- 거대 갑옷공룡의 독특한 생존법 ‘땅파기’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박진영 서울대 고생물학연구실 연구원은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것”이라고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월 2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컴퓨팅 효율 러닝 연구실. 바닥에 놓여있던 손바닥만 한 로봇이 연구원의 손을 쫓아 스스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자율주행 로봇이었다. 작은 크기의 로봇에서 복잡한 자율주행을 구현한 비결을 묻자 김예성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뇌인지과학과 수학을 ... ...
- [JOB터뷰] 인공지능 만화가를 탄생시킨 개발자, 이동익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줘야 하고,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알려주는 뇌를 만들었죠.”그러다 지도 교수님과 연구실 박사 선배들이 인공지능 회사를 창업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자연스레 인공지능으로 관심을 돌리게 됐다고 전했어요. Q&A 궁금해요! Q 어떻게 이말년 작가의 화풍으로 그림을 그리는 인공지능 만화가를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