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조물
구조물
건물
빌딩
구성물
구조
구축물
뉴스
"
건축물
"(으)로 총 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론, 예술을 탐하다
2015.11.29
실내에 국한돼 있거나 조형물에 그쳐 있지만 미래에는 군집드론을 활용해 야외에서
건축물
을 세울 수도 있을 것”이라며 “예술 분야에서도 드론의 잠재적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Franρois Lauginie ... ...
[영상] '마리텔' 김영만 아저씨의 1분 종이접기 강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21
건물은 캠브리지대학교 건축학과 학생들과 건축가 톰 에머슨 등이 함께 만든 ‘종이’
건축물
이랍니다. 종이로 어떻게 건물을 지었을까요? 비법은 상자를 만드는 재료인 골판지! 골판지를 접어서 곳곳에 구멍을 뚫고 종이 노끈으로 고정시켜 만들었어요. 학생들은 다른 도구를 전혀 쓰지 않고 3일 ... ...
정부출연硏 특허도둑 20명 무더기 적발
2015.08.06
제공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 연구원은 2006년
건축물
단열완충재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연구결과를 자신의 이름으로 특허출원했다. 정부 지원으로 얻어낸 연구 성과를 특허로 등록할 때는 미리 기관에 신고해야 한다는 규정을 어긴 것이다. 정부 예산으로 연구한 성과를 개인 재산으로 챙긴 ... ...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전기전도도가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변형센서를 다리 등 큰
건축물
에 붙일 경우
건축물
의 변형 여부를 파악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과 함께 센서를 인체에 부착할 수 있는 유연한 상태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돼왔지만 기존 센서들은 움직임의 방향까지는 파악하지 ... ...
메르스 확산 막는 ‘공기정화 필터’ 나왔다
2015.07.06
헤파필터는 필터 간격이 너무 촘촘해 공기를 통과시키려면 높은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건축물
공기정화시설 등에 설치하기엔 무리가 따랐다. 많은 에너지를 들여 강제로 공기를 순환해야 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 공기 흐름이 나빠져 오히려 공기질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연구진은 ... ...
[네팔 지진] 네팔 카트만두 초토화 시킨 사상 최강의 지진 정체는
2015.04.27
발표했다. 이번 지진은 네팔 지역에 괴멸적 피해를 가져왔다. 네팔은 개발도상국으로
건축물
등에 내진설계를 고려한 경우가 거의 없어 피해지역 집과 가옥이 대부분 주저앉았다. ● 리히터 규모 7.8 강진… 5년 전부터 예측 ‘대응 못해’ 동아일보 제공 이번 지진 강도는 집계마다 차이가 ... ...
[대구/경북]“세계물포럼 전시장은 첨단 치수관리 기술 경연장”
동아일보
l
2015.04.14
않고 땅에 머물도록 도로보다 낮게 화단을 만든다. 환경공단 관계자는 “콘크리트
건축물
이 많은 지역은 빗물 유출이 많아 지하수 고갈 같은 결과를 낳는다. 빗물 관리는 도심에 위치한 공단 열섬 현상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상하수관 청소 로봇도 등장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출자해 만든 ... ...
[Health&Beauty]“3D 프린터로 맞춤형 장기 찍어 낼 날 올것”
동아일보
l
2015.02.11
더욱 발달돼 제조공장들의 수요가 극소화 될 수 있습니다. 현재는 3D 프린트의 용도가
건축물
, 인테리어, 가정용 도구 등에 제한돼 있지만 사물인터넷과 결합되면 무궁무진한 응용이 가능해지며 그 응용 속도는 더욱 빨라져 편의점 늘어나듯이 늘어날 것입니다. 현재 사물인터넷으로 각광받고 있는 ... ...
테크노마트 진동과 인간의 본능
2015.02.08
믿기지가 않았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사람과
건축물
이 상호작용하며 나타나는
건축물
의 ‘공진 현상’이 인체가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려는 본능적인 움직임의 결과라는 주장이 ‘왕립학회논문집 A(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2월호에 실렸다. 마노즈 스리니바산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 ...
[직접 가봤습니다, ‘제2 롯데월드’ 96층] 안전성 문제 없나
2015.02.06
공사 단계에서 인공위성을 동원하는 이유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일반적인
건축물
에서 허용되는 오차 범위가 초고층 빌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초고층 빌딩은 기둥의 각도가 지표면에서 1도만 어긋나도 500m 높이에서는 8.72m가 벌어진다. 신 교수는 “인공위성을 활용하면 안개가 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