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797건 검색되었습니다.
17년만에 부활 과기부총리…"예산 권한이 성공의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25.09.08
부활에 의해 과학기술정책이 중심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덕환 서강대 명예
교수
는 "현재 AI를 명분으로 과기부총리가 부활하면서 과학기술정책이 AI에 집중되고 있다"며 "AI를 비롯해 과거 '탈원전', '녹색경제'처럼 정부가 내세우는 구호에 따라 과학기술정책이 휘청거리면 장기적인 비전을 ... ...
조기 폐암 재발 가능성, AI로 1년 전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5.09.08
환자에게 더 유리한 치료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홍관
교수
는 “레이더 케어는 어떤 전략을 세우느냐에 따라 같은 병기라도 치료 결과가 달라지는 걸 보면서 고민한 결과"라며 "많은 환자들이 안심하고 건강을 회복하는데 소중히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
포스텍, 70년 만에 새로운 열전 설계 원리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9.08
실제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게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손
교수
는 “이번 연구는 지난 70여 년간 공백으로 남아 있던 3D 열전 소자의 설계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이라며 “자동차 배기가스나 산업 현장의 폐열 회수, 웨어러블 기기 전력원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 ...
세포막 단백질 지퍼처럼 단계적 결합한다…"신약 설계 새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9.08
결합을 방해한 결과 결합이 중간 단계에서 멈추는 현상이 확인됐다. 연구를 이끈 민
교수
는 “막단백질이 순차적으로 결합한다는 사실은 단백질 상호작용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꿀 발견”이라며 “유방암 치료제 '퍼제타'처럼 막단백질 결합을 억제하는 원리를 활용한 맞춤형 신약 개발에도 ... ...
혈압·혈당·심전도·낙상까지 관리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9.08
일어나고 있다. 티나 앤 커 톰프슨 미국 에모리대 의대 가정·예방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AI가 집에서 노인 스스로 혈압을 측정하고 관리할 때 도움이 된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7일(현지시간) 미국 볼티모어에서 열리는 '2025 미국심장협회 고혈압 과학세션'에서 발표했다. 나이가 들수록 ... ...
더 빠른 말·고기 많은 양…동물 유전자 교정, 전세계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9.07
야생동물 개체군까지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다. 잔틴 룬쇼프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
는 네이처에 "어떤 동물을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 것인지가 핵심 질문"이라고 밝혔다. ... ...
혈액 대신 땀으로 근육·질환 검사하는 스마트 패치
동아사이언스
l
2025.09.07
성분들 가운데 원하는 대사산물의 신호만 정확하게 분리해 내는 데도 성공했다. 정
교수
는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도 땀 패치만으로 체내 대사 변화를 시간에 따라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일상적인 건강 모니터링은 물론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의 근육 변화와 질환 감지까지 ... ...
손끝으로 잇는 가상과 현실…초경량 피부 부착형 햅틱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07
자유로운 내비게이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마이지디
교수
는 "이 장치가 앞으로 로봇에게 복잡한 작업을 가르치거나 원격 정밀 수술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928-025-01443 ... ...
[헬스토크] "가을 타나"…지속되는 우울·불안 방치하면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9.07
등이 대표적인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들은 모두 임상을 통해 효과가 입증됐다. 김
교수
는 “계절성 정서장애는 단순히 기분이 가라앉는 계절적 현상이 아니라 치료가 가능한 의학적 질환”이라며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를 받길 당부한다”고 전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다람쥐 엄지손톱에서 찾은 설치류 진화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5.09.07
다루는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든 셰퍼드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연구팀은 다람쥐 엄지손톱의 존재가 이들의 손, 치아, 턱의 진화와 맞물려 설치류가 단단한 씨앗과 견과류를 성공적으로 먹을 수 있게 한 열쇠였다는 연구 결과를 5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