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물
수확물
뉴스
"
농작물
"(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 공생균이 살아남는 방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3
생존율도 2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공생균을 조절해
농작물
에 피해를 입히는 해충 개체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앞으로 환경친화적인 해충조절방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0일자에 실렸다 ... ...
가뭄 때문에 농사 어렵다? 인공강우로 제2의 농업혁명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4
삼고 있다. 인공강우 선진국들처럼 안개를 걷어내 교통사고를 방지하거나 우박을 억제해
농작물
피해를 줄이는 수준이 되려면 갈 길이 멀다. 우리나라는 2009년 ‘한국형 기상조절 실험체제 구축 및 입체적 비행 인공증우(설) 연구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기획재정부에 신청했지만 경제성이 ... ...
생물다양성의 보고는 바로 논 옆 '둠벙'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연체동물과 환형동물인데, 이들은 논의 해충을 잡아먹고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해
농작물
들이 잘 자라는데 도움을 준다. 농진청 기후변화생태과 김명현 연구사는 "둠벙은 논 생태계 내 생물다양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과학적 근거가 부족했다" 며 "이번 연구를 통해 논 ... ...
사라진 꿀벌, 서울 한복판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5.14
이르고, 이 중 4만 종은 꿀벌이 없으면 아예 수분하지 못한다. 사람들이 많이 먹는 100대
농작물
가운데서도 꿀벌이 수분시키는 비율이 71%에 이른다. 이렇게 식물을 번식시키고 농사를 짓는 데 꼭 필요한 꿀벌이 최근 수년간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꿀을 찾으러 간 일벌이 집으로 ... ...
농촌에서 씨마르는 꿀벌, 도시에선 증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지난 겨울동안 미국내 꿀벌 개체 수가 31% 급감했다고 발표했다. 꿀벌의 수분(受粉)작용이
농작물
재배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데, 꿀벌의 개체수가 줄어들면 자칫 ‘농업대란’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식량으로 쓰이는 전세계 작물의 절반 이상이 꿀벌의 꽃가루받이에 ... ...
이전
20
21
22
23
2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