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뉴스
"
전력
"(으)로 총 2,28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규모 재생에너지
전력
'안심 직접거래'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스마트컨트랙트’ 기술을 활용해 소규모 발전사업자와 전기사용자가 안심하고 직접
전력
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실증이 가능해졌다. 청주 강소특구에서 2년 여의 실증을 거친 후 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이 플랫폼은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 전기교환을 위한 ... ...
점자, 문자, 질감까지…정교한 촉각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정밀한 제어도 가능하다. 빛 조사를 멈추면 상부층 온도가 낮아져 필름이 단단해진다.
전력
소모 없이도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견디도록 고정할 수 있는 셈이다. 촉각 디스플레이는 점자와 문자는 물론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직접 표현해냈다. 부분별로 탄성과 온도를 제어해 높이와 질감을 정교하게 ... ...
AI반도체 생산 효율 2배...초고성능 칩렛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간섭을 통해 빛의 방향을 전환하는 회절-간섭 설계를 통해 와트(W·1초 동안에 소비하는
전력
에너지)당 160테라(T)의 효율로 연산하는 광자 칩렛을 구현했다. 기존 광자 칩렛과 비교했을 때 작업 성능이 2배 향상된 수치다. 뉴런 수백만 개의 기능과 동등한 수준이다. 연구팀은 "타이치는 광자 ... ...
전기차 배터리 열 폭주 예방 '스마트 단열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에너지원을 수확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활용하는 기술이다. 최근 증가하는
전력
수요와 전기자동차의 보급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 열이 폭주하고 이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배터리 열이 폭주하면 막대한 양의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열 폭주가 발생한 ... ...
원전과 재생에너지 늘렸더니 2년 연속 탄소배출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전환 부문에서는 2018년 이후 석탄발전 가동이 줄었지만 무탄소 발전량이 늘면서 늘어난
전력
소비량 수요를 감당하는 동시에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냈다는 평가다. 2018년 이후 무탄소 발전 증가량(68.1TWh, 테라와트시) 중 원전이 69%(47TWh)로 대부분이고 신재생에너지가 31%(21.1TWh)로 뒤를 이었다. ... ...
차세대 수전해 효율 높인 고체산화물전지 스택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100개였던 기존 분리판 생산량을 하루 1000개 이상으로 개선했다. 동시에 스택에 공급된
전력
에 손실 없도록 셀과 분리판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해 각 셀이 균일하고 극대화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했다. 쌓인 부품을 견고하게 밀봉하는 브레이징 접합 기술을 적용해 유리 밀봉재 사용을 기존 대비 ... ...
뉴로모픽 컴퓨팅 구현?…디램·낸드 장점 합친 상변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고성능 AI 칩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초저
전력
상변화 메모리 소자는 패턴 크기를 줄이려는 기존 연구 방향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큰 숙제였던 소자 제조 비용과 에너지 효율을 대폭 개선한 것"이라며 "소자 내 상변화 물질 선택이 자유로워 3차원 수직 ... ...
스스로 전기 만들어 세포 배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CNT 시트 표면에 부착돼 있는 세포들에 전기적 자극을 주는 원리다. 이를 통해 스스로
전력
을 만들어 세포를 배양하는 전기자극 시스템이 가능하도록 했다. 세포에 전달되는 전기자극 범위도 넓어져 연골세포 뿐 아니라 다양한 세포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통합형 전기자극 ... ...
인간 뇌 모방한 '뉴로모픽 신경망', 컴퓨팅 난제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진동자의 연결 동작을 이용해 신호의 크기가 아닌 진동을 통해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적다는 게 장점이다. 연구팀은 실리콘 기반 진동자를 이용해 진동 신경망을 개발했다. 축전기를 이용해 두 개 이상의 실리콘 진동자를 연결하면 각각의 진동 신호가 상호작용해 시간이 ... ...
버려진 진동 모으고 증폭시켜 전기로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메타물질을 적용한 진동 에너지 하베스팅으로 기존 기술보다 4배 이상 큰 단위 면적당
전력
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메타물질은 성인 손바닥 면적 정도의 작고 얇은 평면 구조로 진동이 발생하는 곳 어디든 쉽게 부착할 수 있다. 부착하는 대상의 구조에 맞게 변형 가능해 고층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