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문용어"(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2019.10.12
- Pixabay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이 깊은 유전자는 APOE E4 변이형이다. 한국인의 경우 APOE E4 변이형을 가진 사람의 비율은 얼마나 될까? 1997년 조사에 의하면 대략 0.1 남짓이었다. 일본인도 거의 비슷하다. 아시아인은 일부 원주민을 제외하면 크게 다르지 않은 편이다. 유럽으로 가면 조금 다른데, 북유 ... ...
- [프리미엄리포트] 2100년 현존 언어 절반 이상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10.05
- 2010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소멸 위기 언어 목록 포함된 제주어. 제주어는 노령 인구만 드물게 사용하는 4단계 ‘치명적 위험’ 언어로 꼽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 2016년 유엔 총회는 올해를 ‘세계 토착 언어의 해’로 정했다. 전세계 언어 약 6700개 중 40%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 ...
- 기관마다 제각각 연구현장 규정·지침 일원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2019.09.3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27일 ‘제5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전문기관효율화 특별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범부처 연구개발 관리 규정∙지침 표준안’을 심의∙확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연구기관마다 서로 달라 현장의 과학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연구의 효율 ... ...
- [인류와 질병] 크레이지 캣 레이디2019.09.28
- 톡소포자충이 쥐의 뇌조직에 만든 낭. USDA 제공 약 10년 전에 발표된 한 가설에 의하면 Rh +/- 이형접합체는 톡소포자충 감염에 내성을 가진다. 이는 아주 흥미로운 진화적 현상이다. 이형접합체가 동형접합체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두 가지 다형성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Rh +/- 유전형을 가 ... ...
- 3대 러닝화 수석 디자이너가 말하는 꿈의 운동화 과학동아 l2019.09.14
- 개발 중인 러닝화를 신고 실제로 달려보며 러닝화의 기계적 생체역학적 성능을 확인하고 있다. Brooks Running 제공 “달 위에서 공룡과 함께 뛴다고 상상해 보세요” ‘아드레날린’ ‘글리세린’ ‘DNA’… 모두 운동화에 붙는 이름이라면 믿겠는가. 세계 3대 러닝화 브랜드로 꼽히는 미국의 ‘브 ...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삶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시기에 달성해야 할 적응적 목표가 다르다. 어린 시절에는 성장을, 성인기에는 번식을 해야 한다. 노년기에는 주변을 돌보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그런데 각 시기의 기간 및 에너지 투입량을 결정하는 최적 수준은 생태적 압력에 따라 ...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2019.09.08
- 게티이미지뱅크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 아이슬란드, 영국 일부 도시들은 세계에서 신경계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이 가장 많이 진단되는 나라들이다. 다발성 경화증이란 뇌와 척수가 산발적으로 파괴되는 병이다. 그렇다면 혹시 추운 기후가 원인이 아닐까? 그런데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 ...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2019.09.01
- 사르데냐섬.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기원전 264년 로마는 카르타고와 지중해의 지배권을 두고 전쟁을 벌였는데, 이를 제1차 포에니 전쟁이라고 한다. 로마는 전쟁에서 승리했고, 시칠리아섬을 얻을 수 있었다. 보너스로 두 섬을 더 가지게 되었는데, 바로 코르시카섬과 사르데냐섬이다. 사르데냐섬 ... ...
- '1만 시간의 법칙' 따라도 전문가 되는 건 아니다동아사이언스 l2019.08.22
- 1만 시간의 연습이 꼭 최고의 전문가를 만드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1만 시간의 법칙’은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1만 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법칙이다.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관용구로 쓰이곤 한다. 하지만 여기에 도전하며 연습만이 ... ...
- '슈퍼문' 뜬다는데… 달 보러 가니 그믐달이?동아사이언스 l2019.08.01
- 대중이 익숙한 용어라지만… 정부연구기관이 비과학 용어 앞장 서서 쓰고 개념도 잘못 이해…천문연 "해당기관 용어 잘못 쓰고 있어" 슈퍼문과 일반 보름달 크기 비교.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국립해양조사원은 이달 1일부터 4일까지와 이달 30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뜨는 ‘슈퍼문’의 영향으로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