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자사전"(으)로 총 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저전력 스포츠센서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8.11.11
-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심박 및 산소포화도 센서.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심장박동수와 산소포화도는 건강 상태를 손쉽게 알 수 있는 생체 지표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워치’에는 심박이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된 경우가 많지만 배터리 소모가 많아 장시간 사용하는데 한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2018.10.31
- '뭐 재미있는 게 좀 있나...' 매주 수목금 아침이면 커피를 홀짝이며 주간 학술지 사이트를 둘러보는 게 작은 즐거움이다. 수요일에는 ‘미국립과학원회보’, 목요일에는 ‘네이처’, 금요일에는 ‘사이언스’ 최신호가 공개된다. 그런데 수요일이 약간 번거롭다. 정기구독을 하고 있는 ‘네이 ... ...
- [과학게시판]노벨상 수상자 기조강연 外동아사이언스 l2018.10.21
- ■ 푸른색 발광다이오드(LED)를 개발한 공으로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아마노 히로시 일본 나고야대 교수가 25일 오후 1시부터 경남 창원에서 개최되는 한국물리학회 가을학술논문발표회에서 기조강연을 펼친다. 아마노 교수는 ‘지속가능하고 스마트한 사회 실현을 위한 혁신적 전자공학 ... ...
- [이사부호 동승 르포]해양연구 '보고' 북서태평양으로동아사이언스 l2018.10.16
- 바다위 떠있는 국내 최대 규모 해양연구소 이사부호 16일 서울대 인천대 연구진 싣고 북서태평양 출항 출항에 앞서 유류공급을 받고 있는 이사부호. 오른쪽 선박이 유류공급선이다. 이사부호는 유류공급선이 좌, 우 어느쪽에 접현해도 기름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두 개의 유류공급관이 달려 있 ... ...
- 의약품 부작용 사전에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10.02
- 서울대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연구진은 2일 초소형 카이랄성 초분자체 및 전자 소자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서울대 공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의약품 제조과정에서 부작용 여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분자센서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의약품은 물론 다른 생화학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 ...
- [2018노벨상]올해 어떤 분야가 상 탈까?동아사이언스 l2018.09.30
- 노벨위원회 제공 천재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예견한 중력파와 생체 분자의 실제 모습을 보게 해준 초저온전자현미경을 개발한 과학자들이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각각 수상했다. 과연 올해는 어떤 분야 연구자에게 노벨상이 돌아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해마다 노벨상 ... ...
- [2019 R&D 예산안] 과기부 일문일답동아사이언스 l2018.08.29
- 임대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8일 언론브리핑에서 2019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2019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이 올해보다 3.7% 증가한 20조3997억원으로 편성됐다고 28일 발표했다. 정부 R&D 예산이 20조원을 돌파한 건 이번이 ... ...
- 공항이 변신한다...심사와 검색을 한 번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08.06
- 공항의 변신 ①보안 편 일반적으로 공항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긴 곳은 보안검색대이다. 짐은 물론, 전자제품과 모자, 벨트 등을 컨베이어 벨트에 따로 올리고, 보안 직원이 직접 몸을 훑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머지않은 미래에는 보안검색 과정이 좀 더 간단하고 편리해진다. 휴 ... ...
- 한국에서 물리학 최신 성과 1100개 발표된다...암흑물질, 표준모형 등동아사이언스 l2018.07.04
- 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 39차 국제입자물리학회 학술대회에 참가하기위해 학자들이 등록을 진행중이다. 등록을 마친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저녁에는 환영파티가 진행될 예정이다.-김진호 기자 제공 우주의 수수께끼를 푸는 재미에 빠진 사람들, 세계 물리학자 1300여 명이 5일 ... ...
- [표지로 읽는 과학] 상상하는 대로...3D 프린터로 찍고 자기장으로 조종하는 소프트로봇동아사이언스 l2018.06.17
- 3D 프린터를 이용해 소프트로봇을 만들고, 이를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돌돌 말리거나 탄성을 이용해 먼 거리를 튀어 이동하고, 다른 물체를 집는 등 역동적인 동작을 오직 자기장만으로 정교하게 통제할 수 있다. 소프트로봇이나 인체 내 약 전달체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