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be
고무관
필터튜브
필터
여파기
여광기
뉴스
"
튜브
"(으)로 총 37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8노벨상]입자물리서 시작해 반도체·우주기원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자성이나 전극이 유지되는 강상관작용전자계 신물질 연구에서, 이 교수는 탄소나노
튜브
를 이용한 전자소자 및 연료전지 연구에서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
‘슈퍼커패시터’ 권위자 로드니 루오프 UNIST 교수 노벨상 유력후보 뽑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그는 20년 이상 탄소 소재를 연구해온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힌다. 특히 그래핀, 탄소나노
튜브
같은 나노 크기 탄소 소재의 구조와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고성능 슈퍼커패시터를 개발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로드니 루오프 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는 기초과학연구원(IBS) ... ...
친환경 알칼리전지 성능 'UP' 나노
튜브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차세대 알칼리 연료전지용으로 쓰는 백금 기반 촉매보다 효과가 좋은 저가형 탄소 나노
튜브
촉매가 나오게 됐다”며 “향후 차세대 알칼리 연료전지용 촉매의 설계, 제조 공정 기술 및 연료전지 적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내열·고강도 신소재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04
한국원자력연구원 김태규 책임연구원팀은 독자기술로 고강도 내열성 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원자력연 제공. 높은 온도와 중성자에 강해 핵연료봉 ...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개발한 소재로 만든 원전 핵연료용
튜브
시제품.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 ...
방사선 요법의 적 ‘구강점막염’ 치료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파괴해 통증과 궤양, 출혈을 동반하는 병이다. 중증 환자는 음식을 전혀 삼킬 수 없어
튜브
로 영양을 섭취해야 하고 통증을 줄이기 위해 마약성 진통제를 맞는다. 미국의 생명공학회사가 이런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을 막을 신개념 치료제를 개발해 임상 3상을 앞두고 있다 . GIB 제공 미국 ... ...
항생제 없이 박테리아의 바이오필름 제거
과학동아
l
2018.08.16
보호하며 악취와 질병을 유발한다. 최종훈 제공 연구팀은 산처리한 탄소나노
튜브
표면에 구리나노입자를 고르게 합성시킨 나노복합체를 제작했다(사진). 연구팀은 복합체에 전자를 하나잃은 구리이온을 적용해 그간 한계로 지적된 구리의 산화 문제를 해결했다. 이 나노복합체는 일차적으로 ... ...
실 모양 태양전지 개발…옷에 넣는 웨어러블 기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7
지름이 25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인 티타늄(Ti) 금속 와이어가 투명한
튜브
에 싸여 있는 형태다. 연구진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음전극 역할의 티타늄 와이어 표면을 미세한 패턴으로 산화시켜 빛의 접촉면적을 늘렸다. 아직까지 출력 전압은 0.7V로 작은 시계에 들어가는 상용 ... ...
[짬짜면 과학 교실] 기체들과 함께 하는 운동회
2018.08.04
많은 숙제에 시달리면 빵빵해진 자전거 타이어
튜브
처럼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요.
튜브
의 재질과 부피를 고려해 공기를 넣듯이, 숙제도 아이들의 학습 능력과 컨디션을 고려해서 내 주어야 아이들의 생활도 쌩쌩 잘 달릴 수 있어요.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과 ...
어리다고 얕보지 마라...키즈 크리에이터 마이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03
것도 재미있다. 마이린은 크리에이터 친구와 함께 촬영을 할 때도 많다. 위 화면은 유
튜브
채널 ‘어썸하은’의 나하은 양과 함께 미끄럼틀 100번 타기에 도전한 영상이다. - 마이린 TV 제공 Q 영상을 만들면서 가장 힘들었던 때는 언제인가? 콜라에 멘토스를 넣어 콜라가 부풀어 오르게 하는 ... ...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내 목소리가 들리나요
과학동아
l
2018.08.01
유전자에 끼워 넣어 카다베린 수용체 단백질을 대량 생산했다. 그리고 이것을 탄소나노
튜브
센서와 결합시켰다. 연어와 소고기 즙으로 실험한 결과 바이오 전자코는 액체에 녹아있는 카다베린을 100조 분의 1몰 정도의 아주 낮은 농도까지 감지해냈다. ● 3D 바이오 프린팅으로 만든 인공 귀 멀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