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스페셜
"
인간
"(으)로 총 1,985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전된 새들이 산불을 일으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심각한 산불로 이어진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전했다. 산불 주요 발생 원인으로는
인간
활동이나 사람에 의한 실화 등이 꼽혀왔다. 건조한 상황에서 벼락이 떨어지거나 한낮의 뜨거운 햇볕도 화재 원인으로 꼽혔다. 야생조류가 감전되면서 발생한 화재가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은 별로 ... ...
중국 연구팀 "외계신호 포착"주장에…천문학자들 "
인간
이 만든 무선신호 오인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센타우리에서 지구로 보낸 신호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2년 후 이 신호가
인간
장비의 오작동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연구를 추가 발표했다. 2011년에서 2014년 사이 호주 파크스 전파망원경에서 측정된 외계에서 온 것으로 추정됐던 신호는 실험 결과 과학자들이 점심을 ... ...
[프리미엄리포트]자율주행로봇 도입하면 배달비 내려갈까
과학동아
l
2022.06.19
과학적인 근거는 전혀 없지만,
인간
이 가장 출출함을 느낀다는 저녁 10시. 굶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을 켭니다. 매콤달달한 떡볶이가 한 접시에 1만 원, 그런데 배달비가 5000원입니다. 아참, 실수했습니다. 배달지를 집이 아니라 안드로메다 은하로 설정했나 봅니다. 집에서 겨우 ... ...
KAIST 뇌인지과학과·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진행한다. 초대 학과장은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맡았다. 정 교수는 “
인간
의 인지와 사고, 행동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의학적·공학적으로 응용하는 학자들과 학생들이 자유롭게 연구하는 학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KAIST는 이날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설립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프라운호퍼와 한국 기술자의 몰락
2022.06.16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
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과학게시판]과기정통부, 2027년까지 디지털 인재 9만명 육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
인간
지능과 인공지능의 만남’을 주제로 ‘AI World 2022 : Tech & Future’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에는 국내외 최신 AI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14개 세션의 글로벌 컨퍼런스가 진행됐따. 또 ... ...
간에서 선천면역과 적응면역 성질 가진 새 면역세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8
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가지고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인간
면역학을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의철 교수는 “앞으로 NK 유사 T 세포의 생리와 병리적 기능을 밝히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패권’ 대신 ‘진실과 자유’를 지향하는 과학기술
2022.06.08
꽃을 피우게 된 것도 과학정신에 의해서 실현된 근대적 과학기술 혁신의 결과다.
인간
이라면 누구나 천부적인 인권을 가진 존재로 자유와 평등, 그리고 민주적 사회 참여를 보장 받아야 한다는 현대적 ‘민주주의’가 싹튼 것은 석탄의 안전한 연소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화 덕분이었다. 18세기 ... ...
3500년전 닭이 처음
인간
에게 다가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7
먹는 게 너무 흔한 일이라 사람이 닭을 먹어 본 적이 없다고 생각할 정도”라며 “닭과
인간
의 과거 관계는 훨씬 더 복잡했고 수세기 동안 닭이 숭상되었음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WHO “원숭이두창 감염자 일주일 전보다 3배 늘어"…27개국서 780건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공공보건에 관한 위험은 낮지만 만약 이 바이러스가 이번 기회를 이용해 널리 확산한
인간
병원체로 자리매김한다면 공공보건에 관한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국내에선 아직 확진자가 보고되지는 않았다. 방역당국은 이달 8일부터 원숭이두창을 코로나19와 동일한 2급 법정감염병으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