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성경의 창세기 11장에 등장하는 전설상의 탑이 바벨탑이다.
인류
역사 초기의 사람들이 하늘에 닿을 정도로 높게 피라미드형의 이 탑을 쌓아올렸다고 전해진다. 바벨탑은 신에 대한 사람들의 도전으로 받아들여졌고 신은 사람들에게 벌을 내렸다.우 주에도 바벨탑을 연상시키는 천체가 있다. 지난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런 불균형은 대기와 해양의 지구적 규모의 대순환에 의해 균형을 되찾고 있다. 덕분에
인류
는 생존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해양은 대기보다 3배 이상 열을 극지방으로 이동시킨다. 해양이 기후조절자로서 주목받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이런 맥락에서 동해가 세계 해양학자들로부터 큰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준다는 잇점도 있다.원격탐사가 처음 도입된 것은 프랑스의 뚜르나숑이 열기구를 이용해
인류
최초로 공중사진을 촬영했던 18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뒤 1909년에는 근대화된 항공기를 이용해 최초의 항공사진을 촬영했고 이후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더욱더 정교해졌다.특히 군비경쟁이 ... ...
러브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을까? 뜻대로 되지 않고 어렵기만 한 사랑은 어떻게 해서 진화한 것일까? 이제부터
인류
의 영원한 테마인 사랑을 과학으로 해부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러브사이언스 01. 사랑은 뇌가 한다 약물치료로 사랑도 조절 가능 02. 사랑하도록 디자인된 인체 03. 짝짓기 시장의 치열한 생존전략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사용해 연구된 적은 없다. 그러나 사랑에 빠진 감정을 연구한 학자들은 있다. 미국의
인류
학자 헬렌 피셔 박사는 미 앨버트 아인슈타인대 신경과학자들과 협력해서 최근에 사랑에 빠졌다고 생각하는 지원자들을 모집했다. 이들에게 애인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fMRI를 찍었다. 그리고 애인과는 전혀 ... ...
나는 사랑의 몇단계에 와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럿거스대
인류
학자 헬렌 피셔 교수는 이성간의 사랑이 3단계를 거치며 인체는 각 단계마다 다른 화학물질의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한다.첫번째 단계는 ‘갈망’ 이다. 이때 서로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많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오묘한 색의 근원 천연염색이 처음 시작된 것은 꽤 옛날로 거슬러 올라간다. 역사상
인류
역사에서 발견된 최초의 염색은 광물과 식물성 천연염료를 이용한 후기구석기시대 동굴벽화다. 대개는 주술적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프랑스나 스페인 등 세계 곳곳에서 발견됐다.자연에서 색을 얻는 기술은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달착륙선 아폴로 11호의 암스트롱 선장과 올드린 비행사가 1969년 7월 20일 「이글」로
인류
최초의 달착륙에 성공한 장소 윌면(月面)의 동부, 적도의 약간 북쪽인 동경 18도에서 43도 부근에 펼쳐져 있는 평탄한 지역 북서부에는 「맑음의 바다」, 북동부에는 「풍요의 바다」, 북부에는 작은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년 스위스 IBM연구소의 물리학자 게르트 비니히와 하인리히 로러가 STM을 발명하기 전까지
인류
에게 예측만 가능하던 영역이었다. 하지만 STM이 개발된 후로 물질의 근본을 이루는 나노세계에 대한 이해가 가속화됐다. 한마디로 STM은 나노과학의 출발점인 셈이다.우리는 주변 사물을 눈으로 본다.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책을 선택하겠다는 것이다. 마지막 세번째는 과학기술이
인류
의 미래를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가를 생각하고, 인간을 위한 과학을 추구하는 책만 내기로 한 것이다.책을 내는 이런 원칙은 김 박사가 과학을 대하는 자세와, 그가 추구해온 삶의 모습을 닮아있다. 과학기술,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