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사라지고 계속해서 피를 새로 만드는 일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알아챘다.하비는 자신의
주장
을 정량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 실제로 피의 양을 계산했다. 하비가 측정해보니 맥박이 한번 뛸 때마다 56.6g의 피가 방출됐다. 1분 동안 맥박 수를 72로 잡으면 약 240kg의 피가 1시간 만에 방출된다. 이렇게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각종 측정기기와 송수신기를 설치해서 물리적 특성과 지질 구조를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
했다. 그는 “필요한 경우 2014~2024년 사이에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태양풍 돛 이용해 소행성 밀어낸다그렇다면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또는 혜성의 궤도를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걷게 됩니다. 과학은 어렵지 않아교수님은‘과학은 절대 어려운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
합니다.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을 하고, 틀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자기가 생각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거예요. 진화론이 처음에 나왔을 때는 이상한 이야기였지만 위대한 이론이 된 것처럼 자기 스스로 ... ...
700만년전 인류 조상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후두에 발달한 거대한 목 근육이 네 발로 기어다닌 유인원의 골격과 더 비슷하다고
주장
했다. 브루네 교수팀의 고고인류학자 댄 리버맨 박사는 이에 대해 “최초의 직립보행 원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도 거대한 목 근육을 갖고 있다”고 반박했다.투마이 화석은 처음 발굴됐을 당시 인류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페스터는 “뇌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법칙들을 거스르는 교육은 헛되다”고까지
주장
한다. 이번 기말고사 때는 뇌의 기억체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고 이를 활용해 새로운 학습전략을 세워보는 건 어떨까.영어 조기교육 발음에는 효과 있다고려대 남기춘 교수팀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구구단 이상의 효과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19단을 외우면 두뇌가 개발된다는
주장
도 마찬가지였다. 뇌 전문가인 서울대 의대 서유헌 교수는 “19단을 외우면 좌우 뇌가 발달한다는 말은 전혀 타당하지 않다”며 “어린이에게 19단을 억지로 외우게 하면 오히려 창의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대상물의 성질뿐만 아니라 다른 대상물과의 전후관계와 상호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
했다. 이 이론은 동질성과 근접성 실험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여러 개의 점이 일률적으로 배열돼 있다면 우리는 같은 확률로 행이나 열이 존재함을 인지할 수 있다. 만일 각 행의 점이 동일한 색상을 띄고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다. 그런데 지난해 6월에는 청정해역으로 알려진 독도마저 갯녹음이 나타나고 있다는
주장
이 제기돼 사람들에게 많은 충격을 줬다.갯녹음은 해조류를 먹는 해양 동물이 지나치게 많거나 곰팡이가 바다로 유입돼 해조류의 서식을 방해하면서 나타날 수 있다. 또 온실효과로 늘어난 이산화탄소가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아니라 인간의 탐욕이며, 이를 감시하는 사회 시스템이 중요하다는 것이 나 이사장의
주장
이다.“지난 해 시작한 사이언스코리아 운동은 과학문화를 토대로 민간 차원에서 다양한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이언스코리아는 사실 준비기간이 부족했지만, 지난 해에 과학문화의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결정적인 자료들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그런데 실제로 NASA가 그의
주장
을 무시한 것은 객관적인 데이터가 부족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NASA는 안전의 문제보다는 비행 계획을 엄수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점을 들어 챌린저호의 발사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