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5. 경제학 주가 예측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것인데, 3개월 내지 6개월 후에 물건의 실제 가격이 얼마나 될 것인지를 예측하는 것이
핵심
이다. 그러나 선물의 가격은 많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측하기 매우 어렵다.주식거래도 선물거래와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을 보면 개별 종목의 변동성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 ...
청소년기 효과 의심스런 뇌파조절기구 부작용 가능성도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선전과 같이 굉장한 효과를 볼 수 있는가. 그리고 부작용의 위험성은 없는가.이 기구의
핵심
적인 원리는 인간의 뇌파 중 학습에 가장 효과적인 알파(α)파 (명상파)를 빛과 소리를 이용해 인위적으로 유도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먼저 인간의 뇌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뇌 안정 ... ...
행글라이딩, 패러글라이딩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패러글라이더 모두 사람이 추(錘)가 돼 무게중심을 어떻게 잡는가 하는 것이
핵심
이다. 그러나 행글라이더의 조정이 패러글라이더의 경우보다 더 힘이 든다. 행글라이더에 몸을 매단 비행자는 자신의 몸무게를 실어 삼각형 모양으로 생긴 조정간을 잡고 앞뒤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자신이 가고자 ... ...
3. 풀어 쓴 디지털사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사용하게 되면서 텔레타이프라이터는 급속히 발전했다. 훗날 개인용 컴퓨터 통신에서
핵심
적인 역할을 담당한 모뎀이 나타난 것도 이 과정에서다.컴퓨터가 아날로그 신호보다는 디지털 신호를 정보 처리의 기본 단위로 채택하게 되자 통신 쪽에서도 기존의 전화에서 채택한 아날로그 방식이 아니라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유율 개념이 생겼다. 그 결과 뉴턴의 관심의 '무한' 으로 이어졌다.뉴턴의 유율법에서
핵심
적인 문제는 연속운동이었다. 우선 운동체의 통과거리가 주어질 때 그 속도를 알아내는 것이 문제였다. 그리고 속도와 시간을 아는 경우 운동체가 통과하는 거리를 구하는 것이 또다른 문제였다. 이들은 서로 ...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연결시키기가 곤란할 경우가 많다. 하지만 도시 하늘은 별자리의 뼈대를 이루는
핵심
적인 별만 보이기 때문에 시골만큼 혼동될 염려가 적다.Ⅴ. 마지막 관문 상상력 외우기 쉬운 이름을 지어보자별자리를 단지 전설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별자리의 모양과 그 이름을 ... ...
5. 디지털 전도사 네그로폰테와 미디어 랩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대중 문화의 전달 매체' 로서 그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했다"는 한 비평가의 평가는
핵심
을 지적한 것이다.최근 그의 중요한 일 중 하나는 그가 창간하고 고정 컬럼을 쓰는 '와이어드'(WIERD)를 통해 독자를 만나는 일이다.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와이어드에서 그의 컬럼은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어느새 또 다른 게 나와 개발자들을 혼란시키고 있다. 하지만 한가지 분명한 것은 문제의
핵심
은 네크워크라는 것이다. 고립된 인간이 살아갈 수 없는 것처럼 고립된 컴퓨터는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책상 위에 성능 좋은 컴퓨터가 한대 있으면 거의 모든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시대는, 다가온 지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큰 혜택은 흘러넘치는 광범위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상업적으로 가치있는 가장
핵심
적인 정보는 공개돼 있지 않지만, 일반 가정의 구성원 입장에서는 매우 유용한 정보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어서 매력적이다(안타까운 것은 이들 정보의 대부분이 영어로 기술되어 있다는 것이다).많은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대우중공업은 옥포 6000을 개발하면서 러시아 극동연구소로부터 심해탐사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이전받았다.한반도 주변에는 그리 깊은 바다가 없다. 그래서 얼마나 깊은 바다에 들어가는 탐사정을 개발하는가는 과학적인 기술력 확보와 상징적인 의미를 빼면 실질적으로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 이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