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스페셜
"
사용
"(으)로 총 4,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업데이트]WHO "코로나19 백신 내년 초에나
사용
가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첫
사용
은 내년 초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은 22일(현지시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진행한 질의응답에서 "연구진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훌륭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같이 ... ...
파스처럼 붙이면 걸을 때 힘 보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3
진행했다. 평균 75세 노인 29명을 대상으로 보행보조 시스템을 평가한 결과 근육
사용
률은 4~12% 줄어들고 관절의 뻣뻣함도 34% 줄어들었다. 평균 75.9세 노인 22명을 대상으로 평지 걸음과 계단오르기 운동을 한 결과 걷는 속도는 평균 13.15% 늘어났다. 계단 오르기에서의 에너지 소모량도 8.28% 줄어들었다 ... ...
월성원전
사용
후핵연료 임시저장 ‘맥스터’ 증설 24일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20.07.22
연료로 쓰고 남은 물질인
사용
후핵연료를 저장하는 건식저장시설이다. 원자로에서 나온
사용
후핵연료는 매우 뜨거운 열을 내뿜는다. 이 열을 식히기 위해 물속에 보관하는 습식저장시설에 우선 보관한다. 그후 최소 6년간 냉각시켜 열이 어느 정도 식으면 맥스터와 같은 건식저장시설로 옮겨 ... ...
[이덕환의 과학세상]산혁협동에서도 연구윤리를 지켜야
2020.07.22
뒤늦게 또 새로운 ‘항균동 필름’을 개발했다는 중소기업이 등장했다. 역시 구리를
사용
한 모양인데 기존의 항균 필름과 무엇이 다른지는 알 수가 없다. 어쨌든 유명 대학의 연구를 통해서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력을 상실시키는 불활화 효능을 확인했다는 것이 제조사의 일방적인 ... ...
가장 앞선 코로나19 英·中 백신 후보 2상까지 안전성·항체 형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전달체 백신이다. 다만 옥스퍼드대와 달리 인간에게 감염되는 아데노바이러스-5형을
사용
하는 게 차이다. 스파이크 단백질 중에서도 특히 결합에 중요한 수용체결합부위(RBD)의 단백질을 항원으로 만든다. 중국 생명공학 기업 캔시노와 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의학연구원 베이징생명공학연구원이 ... ...
WHO "북한서 최근 1천100여명 코로나 검사…모두 음성판정"
연합뉴스
l
2020.07.21
쓴 채 학업에 집중하고 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6월 6일 보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
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photo@yna.co.kr ... ...
국내 코로나19 첫 항체치료제 임상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들어간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임상 2상에서 유효한 치료결과가 나오면 곧바로 긴급
사용
승인을 신청하는 등 코로나19 치료제 출시를 서두르겠다고도 밝혔다 ... ...
GC녹십자, 코로나19 임상용 혈장치료제 생산 시작
연합뉴스
l
2020.07.20
"혈장치료제는 국민의 힘이 모여 만들어지는 치료제"라며 "이른 시일 안에 의료현장에서
사용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GC녹십자 제공]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벡터들을 활용한 유전자 치료제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가령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사용
한 선천성 면역결핍증 치료제인 ‘스트림벨리스’는 2016년 유럽의약품청(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희귀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럭스터나’는 2017년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망간에서 생존 에너지 얻는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8
연구원과 자레드 리드베터 칼텍 교수는 망간이 산화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사용
해 자신의 성장은 물론 무기 탄소를 바이오매스에 고착시킬 수 있는 2종류의 박테리아를 공생 배양시키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15일자(현지시간)에 공개했다. 연구진은 배양에 성공한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