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3,312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03
전혀 새로운 생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영감을 준다는 것이 발생공학의 돌연변이관이다.
인류
가 지각을 갖게 되면서 품은 가장 큰 의문의 하나는 바로 발생의 신비였다. 수정된 접합자세포가 체세포분열을 거듭하면서 어떻게 각기 다른 모양과 특성을 지닌 수많은 기관은 세포로 발달해나가는지는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03
소요되기는 하지만 자연환경이 가지고 있는 생물학적 자정능력(自淨能力)은 중요하다.
인류
역사에서 환경오염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던 것은 그때까지만 해도 오염부하가 자정능력을 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이처럼 환경을 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은 자연계의 거의 모든 장소에서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03
조금 더 클 뿐 모든 원리는 같다"고 말했다.현대로켓의 시조 V-2V-2 로켓. 지금까지
인류
가 만든 로켓 중 V-2 로켓만큼 유명하고, 전세계의 우주로켓개발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도 없을 것이다.V-2 로켓은 1932년 11월 1일 발족된 독일 육군 로켓 연구소에서 10여년의 개발 끝에 완성시킨 현대 로켓의 시조인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
과학동아
l
199403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유전 공학이라 한다. 유전공학은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인류
에게 필요한 물질이나 생물을 대량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연구하는 학문으로, 유전자 재조합에 의한 형질 도입, 세포 융합에 의한 키메라 합성, 핵 이식에 의한 클론 형성 등이 있다.유전자 재조합의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수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을 하고 싶을 줄로 안다. 허리케인이나 태풍을 다스릴 수 있다면
인류
를 자연의 횡포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기상계는 단순한 혼돈계와는 달리 변수가 너무 많아서 정확하게 모델을 만들 수 없다. 나비의 날갯짓처럼 아주 미세한 요인에 의하여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02
등의 경연을 벌인다.2천년 전 하늘을 난 사람사람들은 언제부터 연을 날리기 시작했을까.
인류
의 지혜가 발전하면서 창공을 날기 바라는 인간의 마음은 연을 만들었다. 연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최초의 비행물체다. 즉 연은 발마에 과학적인 원리를 적용해 고안해낸 지혜의 산물인 것이다. 기록에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02
대로 반물질 응용의 '대부'는 에너지다. 물질과 반물질이 충돌했을 때 생성되는 에너지는
인류
가 지금까지 사용해온 에너지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1g의 탄소가 연소할 때 7.8cal의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을 이용해 전기도 만들고 난방에도 활용한다. 여기서 탄소는 아주 없어져버리는 것이 아니라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밝혀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이 정확히 사라져야만 우리
인류
는 다가오는 미래를 현명하게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만약 육상식물들이 인간이 방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다면 문제는 더 심각하다. 식물들에게는 분명히 생리적인 한계가 있을 것이고, 언젠가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02
뿐 아니라 유용하다.그러나 설치류는 동시에 위험할 수도 있다. 역사를 통해서 볼때
인류
는 설치류나 그것에 기생하는 곤충이 옮기는 질병들 때문에 큰 고통을 받아왔다. 14세기에는 쥐벼룩이는 옮기는 세균(학명 : Pasturella pestis)이 일으키는 병인 흑사병에 의해 아시아와 유럽 인구의 75%가 목숨을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02
폐지됐다.1885년 루이 파스퇴르(Loui Pasteur)가 광견병(일명 공수병) 예방약을 개발하여
인류
에 공헌했고, 1937년 타일러(Theiler)와 스미스(Smith)는 황열병예방약을 개발하여 많은 희생자를 구했다. 그밖에도 예방백신 개발법이 확립되어 많은 바이러스성 예방약이 나왔다.그런데 예방백신에는 몇가지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