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모션캡처를 이용했어요. 모션캡처란 사람 또는
동물
의 몸에 마커라는 특수 센서를 달아 그 움직임을 컴퓨터 속에 저장하는 기술을 말해요.우리는 모션캡처를 이용해 실제 사람의 움직임을 컴퓨터 데이터로 만들어 방정식의 한계를 보완했답니다. 이론과 실험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증명된 적은 없다.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수렵인, 그러니까 처음으로 다른
동물
들을 잡아 먹은 종이다. 사냥은 에렉투스의 얼굴에도 영향을 미쳤다. 집단 사냥에는 소통이 중요한데, 사냥감의 주목을 끌지 않으며 조용하게 소통하려면 눈길과 표정, 몸짓이 발달해야 한다. 호모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증거로 현재까지도 활용되고 있다. 회오리바람을 타고 바다를 건넌 신종? 영국의
동물
학자 알버트 귄터는 '대륙이동설'을 뒷받침한 신 종헌터였다. 그는 호주에서 민물고기를 연구하며 수많은 신종 을 발굴했다. 그런데 연구 도중 '갤럭시아스 아테누아투스(뱅어 의 일종)' 등 일부 민물고기가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식물이 유용한 천연물질을 많이 분비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퀸즈랜드 박물관은 해면
동물
신종만 2100여 종을 보유하고 있다.퀸즈랜 드 박물관은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 및 그리피스대 연구소 와 협력관계다. 그리피스대 연구소에는 이미 생리활성물질이 800개 이상 쌓여있으며, 아스트라제네카는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통신사가 개발한 ‘지브로(ZiBro)’는 무선주파수 인식시스템과 블루투스로 작동해 반려
동물
의 실종을 막아 준다.이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하이패스나 홈 CCTV 등 상용화된 사물인터넷 사례는 많다.미래에는 달려오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신발 덕분에 신호등이 없는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7월 상용화를 목표로 백신 개발 중이다.감염경로● 이번 서아프리카 사태에서는 야생
동물
과의 접촉을 통해 에볼라가 전파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에볼라에 감염된 환자의 체액을 통해 전염된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비록 몸속에 있더라도 증상이나타나기 전에는 에볼라가 전파되지 않는다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저중력 상태에서 의료기기를 시험 중이다. 제트기의 파라볼릭 비행을 이용해
동물
실험을 진행했으며, 곧 미국의 우주개발 벤처인 엑스코에어로스페이스의 준궤도 우주선 ‘링스’를 이용해 실험할 예정이다. 이미 10회 이상의 우주비행을 예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실험은 화성식민지가 건설될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닭이다. 각각의 원(염색체)에서 아래 반원은 인간의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
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 ...
사카린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거부감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콜타르가 산업폐기물이라는 사실이 문제였다.식물이나
동물
로 만든 ‘자연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정서를 가진 사람들에게 화학적으로 합성한 사카린은 식품으로 인정받기 쉽지 않았다. 물론 모두가 그랬던 것은 아니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발견은 이융남 관장과 고바야시 교수팀이 2년여에 걸쳐 연구한 끝에 작년 말 미국척추
동물
학회지에 발표됐다. 이 알은 수각류지만 육식을 포기한 ‘테리지노사우루스’ 류의 알로 추정됐다. 알 껍질 단면을 세밀하게 확대해 비교해 본 끝에 내린 결론이다. 연구가 이뤄지는 동안 키요시 씨는 발견에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