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대로 알고 먹자, 영양표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지금부터 자세히 알려 줄게!” 비만과 충치의 원인? 탄수화물과 당류우리 몸의
에너지
원인 탄수화물과 당류는 꼭 먹어야하는 영양성분이야. 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몸속에서 지방으로 바뀌어 쌓이게 된단다. 특히 달콤한 맛을 내는 당류는 너무 많이 먹으면 충치가 생길 수도 있어.우리 몸을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힘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장치 등으로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 재활용품과 친환경
에너지
를 사용한 결과 산과 바다가 푸르고 깨끗하게 된 모습이 바닥에 그려졌다. 학생들의 생각은 세밀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작품 속에 나타난 친환경도시 울산의 꿈은 하루하루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거래요. 지금은 만드는 비용이 너무 비싸지만 조금만 기다려보세요. 우리 게놈 클럽에
에너지
분과가 생겼으니까 곧 바이오에탄올을 쓸 수 있을 겁니다.감자 만나서 반갑습니다. 앞으로 자주 뵙죠. 사회자님, 저기 끝에 앉아계신 분은 누구시죠?사회자 네, 저분은 과일 클럽 회장인 포도에요. 주로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보고바닷속을 탐사하는 이유는 당연하다. 지상에는 찾을 수 없는 심해 생물자원,
에너지
자원 등이 널려 있기 때문이다. 깊은 바닷속을 들어갈 수 있다면 얻을 수 있는 자원의 숫자는 그만큼 늘어난다. 중국이 자오룽호를 이용해 탐사한 북태평양 바다도 자원의 보고다. 망간 단괴, 희소 금속을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접목해야 하는 기술입니다. 우리나라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유리한 대목이지요. 미래의
에너지
선진국을 꿈꾼다면 지금 스마트 그리드가 절호의 기회입니다 ... ...
그래핀의 변화 모습 눈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찰할 수 있었다.김근수 교수는 “그래핀 표면에서 일어나는 전자 구조의 변화나 결합
에너지
의 힘을 구체적으로 측정해 낸 것은 처음”이라며 “이번 연구는 그래핀과 다른 물질을 합성할 때 필수적인 ‘도핑 기술’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 ...
‘다중우주’ 첫 검증, 실패로 끝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우주끼리 서로 충돌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그 경우 충돌로 발생한 복사
에너지
가 우주배경복사에 희미한 흔적을 남긴다고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미지의 파장을 포착하면 다중우주론을 간접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이다.히라냐 페이리스 영국 런던대 천체물리학과 교수팀은 ... ...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전신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연구한 내용은 2005년부터 대형 국가 과제로 시작된 ‘한국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개발’, ‘배전지능화 시스템 개발’과 같은 전력IT 사업의 밑거름이 됐다. 2009년부터 본격화된 스마트 그리드 사업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이어갔다.필자는 초기 연구원 생활을 거친 후 ... ...
엄마 없는 원숭이 평생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부신에서 생기며, 스트레스에 반응해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스트레스를 극복할 때 힘과
에너지
를 보충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몸을 손상시킨다.만 2살 때와 만 3살 때의 코르티솔 양을 측정한 결과 어미와 떨어져 자란 원숭이가 그렇지 않은 원숭이에 비해 코르티솔의 양이 꾸준히 높았다. 어미와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유력하게 인정받고 있다.[달의 앞면(왼쪽)과 뒷면(오른쪽)]한편 대충돌 때 발생한 충돌
에너지
가 너무 커서 지구뿐만 아니라 달 전체에 마그마가 마치 바다처럼 퍼졌을 것이라는 가설이 마그마 바다설이다. 달 전체를 덮고 있던 액체상태의 마그마에서 밀도가 높은 감람석과 휘석은 가라앉아 하부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