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접목해야 하는 기술입니다. 우리나라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유리한 대목이지요. 미래의
에너지
선진국을 꿈꾼다면 지금 스마트 그리드가 절호의 기회입니다 ... ...
그래핀의 변화 모습 눈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찰할 수 있었다.김근수 교수는 “그래핀 표면에서 일어나는 전자 구조의 변화나 결합
에너지
의 힘을 구체적으로 측정해 낸 것은 처음”이라며 “이번 연구는 그래핀과 다른 물질을 합성할 때 필수적인 ‘도핑 기술’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 ...
‘다중우주’ 첫 검증, 실패로 끝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우주끼리 서로 충돌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그 경우 충돌로 발생한 복사
에너지
가 우주배경복사에 희미한 흔적을 남긴다고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미지의 파장을 포착하면 다중우주론을 간접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이다.히라냐 페이리스 영국 런던대 천체물리학과 교수팀은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유력하게 인정받고 있다.[달의 앞면(왼쪽)과 뒷면(오른쪽)]한편 대충돌 때 발생한 충돌
에너지
가 너무 커서 지구뿐만 아니라 달 전체에 마그마가 마치 바다처럼 퍼졌을 것이라는 가설이 마그마 바다설이다. 달 전체를 덮고 있던 액체상태의 마그마에서 밀도가 높은 감람석과 휘석은 가라앉아 하부 ... ...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전신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연구한 내용은 2005년부터 대형 국가 과제로 시작된 ‘한국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개발’, ‘배전지능화 시스템 개발’과 같은 전력IT 사업의 밑거름이 됐다. 2009년부터 본격화된 스마트 그리드 사업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이어갔다.필자는 초기 연구원 생활을 거친 후 ... ...
전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련해 전력시스템 제어 및 안정도 연구와 FACTS, HVDC와 같은 전력 신기술 연구, 신재생
에너지
인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분산 전원 연구를 한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전기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쓰이는 만큼 연관된 수많은 대기업들과 중소기업들이 있다. 전력시스템공학을 전공하면 발전 ... ...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바이오연료를 얻을 수 있는 합성생물을 개발 중이다. 광합성 회로를 이용한 ‘
에너지
공장’인 셈이다. 벤터 박사 외에도 많은 과학자들이 합성생물로 바이오 디젤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들은 합성생물이 지구온난화와 석유고갈 위기를 극복할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합성생물을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추가 진동하는 폭은 점점 커진다. 작은 진동이라도 같은 주기와 위상으로 계속 겹치면
에너지
가 증폭돼 큰 진동이 되고 흔들림은 심해진다. 건물 상층부가 아래쪽보다 더 흔들린 것은 위로 올라갈수록 진동이 증폭됐기 때문이다. 건물 하층부는 지면 아래의 단단한 암석에 고정돼 있어 진동이 줄었다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전자의 가속 거리가 긴데다 가속된 전자들이 파장에 따라 훨씬 더 가지런하게 정렬돼
에너지
가 높기 때문이다. 레이저와 특징이 비슷해 ‘X-선 자유전자레이저’라고 부르기도 한다. 빛의 밝기도 일정해 관측 효율도 높다. 수 나노미터 수준의 구조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생명과학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산화탄소와 결합한 뒤에 다시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모아야 하는데, 분리할 때 드는
에너지
가 크다. 또한 이산화탄소 이외에도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이 흡수제와 반응한다. 이때 이산화탄소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흡수제 자체가 분해되는 현상이 생긴다. 그만큼 모자란 흡수제를 계속 채워 줘야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