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지휘
통솔
맵
길잡이
약도
기로
d라이브러리
"
지도
"(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주로 하버드 대학원에 입학한 84년 이후 5년 간. 중미 코스타리카에서 수행했다.
지도
교수는 세계적으로 개미연구의 권위자로 인정받는 명망가였다. 필자는 이외에도 딱정벌레 벌 박쥐 등의 생태에 조예가 깊다.인류가 최초로 농사를 짓기 시작한 것은 지금부터 약 1만년 전이다. 이는 산업혁명과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심해생물은 다윈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일까. 엄청난 종의 심해생물이 발견됨에 따라 이를 두고 생물학계에서는 새로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아직까지 아무도 설명하지 못 ... 동물을 철저하게 연구하지 않는다면 많은 종들이 기술되기도 전에 멸종의 위기를 맞이할
지도
모른다.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행동을 취했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밴팅의 비난은 노벨상을 타기 위한 포석이었는
지도
모른다.1921년 12월 뉴헤븐학회에서 밴팅이 연구결과를 발표할 때 미국 인디아나폴리스 소재 제약회사 일라이릴리(릴리)의 연구소장인 조지 클라우스가 참석하고 있었다. 클라우스의 제의에 의해 릴리와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암컷은 모두 비슷해서 수컷을 확인하고 그 옆에 있는 것을 암컷으로 추정해야한다.
지도
교수와 조교의 설명을 듣고 조류도감을 펴서 일일이 확인하고서야 '감' 이 잡히기 시작했다.이곳에서 몇몇 희귀조를 발견한 것은 큰 수확이었다. 고상한 자태를 뽐내는 재두루미(천연기념물 203호) 10마리, ... ...
제5회 신나는 과학놀이마당 솜사탕도 만들고 DNA도 배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고체연료를 만드는 실험실은 이번 행사에서 단연 인기를 끌었다.중·고등학생들이
지도
하는 교실은 역시 무게가 있었다. 이들은 실험 시작 전에 과학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실험 중에 주의해야 할 점을 조리있게 설명해 주었다. 알코올과 모터를 다룰 때 손을 다치지 않도록 몇번씩 강조하면서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들이 등장할 때마다 화면엔 해외 유명 대학의 이름이 찍혀나왔다. 그 광고가 아직까
지도
해외 학위를 국내 학위보다 더 인정해주는 현실의 상황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아 마음이 개운치 않았다. 그러나 언젠가는 해외 CF에 KAIST가 기술의 상징으로 등장하는 날이 올 것이라 기대한다.KAIST를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차원에서 어떤연구 분야가 취약분야로 보완이 필요한가를 찾아 균형적인 연구가 이뤄
지도
록 해야한다. 국가가 균형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분야를 찾고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되면 다른 연구기관에 과제를 넘겨주는 발빠른 연구행보를 해야한다. 이런 연구분야의 설정을 위해서는 ... ...
2. 공통과학 성공의 조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된다면 실험실과 실험기자재가 절대 부족한 교육현실에 물꼬를 터주겠지만, 아직까
지도
좋은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다만 학교 교육에도 새로운 경영기법을 도입해 학교장과 학부모가 학교 재정을 꾸리는 방법으로 선회함으로써 학교와 학부모에게 그 책임을 떠 넘기는 것은 아닌지 교육부의 ... ...
2. 환경지배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못했다.평강공주를 만나기 전까지 한낱 필부에 불과했던 바보 온달은 공주의 열성어린
지도
로 고구려의 국운을 걸머지는 장군으로 변신했다.1970년대에 IQ 2백의 천재아로 명성을 날렸던 우리나라의 신동 김모군은 10여세의 어린나이에 미국에 있는 대학으로 유학했지만 20대에 들어서자 여느 사람과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성공보다는 자신의 일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한 직업을 찾고 있는
지도
. KAIST학생들이 가장 갖고 싶은 직업은 교수와 연구원이었다.처음 얻은 직장에서 평생동안 일을 하겠습니까?그렇다 41 / 아니다 55 / 무응답 4현재의 전공을 살려 취업을 하겠다는 학생이 94명인 반면 처음 얻은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