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선생님과 통화를 하는 것이 무척 영광이었다. 최근에는 ‘머털도사’ 같은 시대물을
집
필하지만 1970년대 연재했던 ‘무지개 행진곡’을 비롯한 가족 만화는 아직도 내게 진한 감동으로 남아있다.연재만화뿐 아니라 과학 학습 기획물의 일러스트레이션도 이두호 선생님이 주로 담당했었는데 ... ...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봤다. 가운데 모닥불을 피우니 연기도 잘 빠졌고 제법 훈훈했다. 하루 종일 눈밭에서 ‘
집
짓기’에 씨름했던 우주인들은 텐트 안에 들어가 곧 너부러졌다.달콤한 휴식도 잠시. 무전기에 구조대의 신호가 잡혔다. 고 씨는 텐트 밖으로 나가 모닥불을 피우고 신호탄을 터뜨려 피난처의 위치를 알렸다 ... ...
“내 아기를 부탁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습지의 풀 위에 알을 낳으면 습지를 돌아다니던 개미는 그 알을 자신의 알로 착각하고
집
으로 가져갔어요. 연구팀이 분석해 보니 나비와 개미의 알에서 냄새를 풍기는 화학물질이 60% 이상 비슷했어요. 나비가 개미의 냄새를 흉내낸 거죠. 재미있는 건 개미가 이런 나비의 염치 없는 행동에 속지 않기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5계 분류 체제’는 오늘날도 중고교 교과서가 채택하고 있다. 원핵생물, 뿌리 깊은 두
집
살림이제 논쟁도 끝나고 자리를 잡아가고 있던 분류학계는 1977년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세 쪽짜리 논문으로 또다시 흔들렸다. 그런데 이번 엔 상황이 달랐다. 전통적인 분류학자였다면 결코 ... ...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곤충과 함께 버섯은 자연의 물질순환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흰개미
집
버섯은 아주 맛있는 버섯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흰개미의 유충이나 성충 사체로부터 단백질이나 인을 섭취해 균사에 축적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산야를 돌다 보면 계곡물이 가까운 나무그늘 아래에서 ... ...
분자를 '성형수술'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다는 아이디어도 낸다. 이 교수에게 자연은 레고블록 놀이터인 셈이다. 레고블록으로
집
을 짓고 건물을 세우듯 유기합성과학자는 다양한 원자를 조립해 원하는 물질을 만든다.원자를 조립할 때 원치 않는 부산물이 생길 수 있다. 이를 ‘거울상 이성질체’라 부른다. 유기분자를 만들 때 거울에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곤충은 파브르의 눈을 통해 비로소 우리 곁에 다가왔다”는 역자의 말처럼 파브르는 옆
집
할아버지처럼 친근한 존재이며 파브르 곤충기는 한국인의 필독서다. 하지만 국내에서 출판된 파브르 곤충기는 부분만 발췌한 번역본이거나 요약본이 대부분이다.40여 년을 곤충과 동고동락한 성신여대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사람의 몸에 전기가 통하는 특징을 이용하면 위조가 불가능해진단다.미래에는 밖에서
집
안을 맘대로 조종하거나 멀리서도 내 컴퓨터를 쉽게 쓰는 등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올 거야. 이 때는 바이오인식기술이 더욱 중요해. 확실하게 나를 확인할 수 있는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많았으나 콩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그는 “아시아바퀴가 밭에서는 유용하지만
집
안으로 들어오면 문제라 해충을 없애는 데 바로 도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농약 대신 해충을 없애는 데 바퀴를 이용하려면 다양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1999년 노벨상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리보솜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이 다양하며, 각자의
집
으로 이동하는데 특별한 규칙이 있다는 사실을 암시했다. 블로벨 박사는 단백질마다 ‘우편번호’를 가져 제 위치를 찾아가는 것이 아니냐는 가설을 제시했다. 어떤 단백질이 우편번호 역할을 하고 어떤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