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7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벌레 '막 단백질'에게도 '순애보'가 있답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라가너스키 영국 옥스퍼드대 박사팀은 MscL, AqpZ, AmtB 세 개의 막 단백질을 세포막에서
분리
했다. MscL은 결핵균의 세포막 단백질이며 나머지 두 개는 대장균의 막 단백질이다. 그 뒤 이들 주위에 인공 세포막을 만들어줬다. 그리고 막 단백질이 좋아할 만한 여러 지질을 뿌렸더니 세 단백질은 각각 다른 ... ...
진딧물과 박테리아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4.06.04
원인일 것이라 추측한 연구팀은 진딧물 10만 마리의 침을 채취해 그 안에 든 단백질을
분리
해 분석했다. 그 결과 GroEL이라는 단백질이 식물의 방어기작을 발동시키는 원인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그런데 이 단백질을 만든 건 진딧물이 아니었다. 진딧물 체내에 기생하는 박테리아의 일종인 부크네라 ... ...
이것 개발했더니 보톡스 대체물질까지?
과학동아
l
2014.06.02
구현하는데 성공한 것. 이 경우 효모에서 매번 동일한 스네어 단백질을 가진 액포를
분리
·정제할 수 있어 합성 리포좀의 불완전한 재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대량 배양이 가능한 효모의 특성을 살려 동물실험에 따른 고비용 문제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전 교수는 “인간의 ... ...
3D 얼굴 모델링, 그래핀
분리
막 "기초 연구가 돈 되네"
과학동아
l
2014.05.28
사실도 세계 최초로 규명해 ‘사이언스’에 실리기도 했다. 37조 원 규모의 세계
분리
막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 기술은 현재 상용화를 위해 벤처 창업을 앞두고 있다. ‘질량분석 의료기술 융합연구단’의 지원 속에 민간에서 개발한 자궁경부암 진단제 ‘파필로타이퍼’도 눈길을 ... ...
삼성 모든 기술-인력 모아 ‘미래 먹거리’ 찾는다
동아일보
l
2014.05.26
양극을 순서대로 겹친 뒤 돌돌 말아 만드는 기존 방식과 달리 커브드 배터리는 음극,
분리
막, 양극의 조합을 수차례 반복해 쌓은 뒤 원하는 만큼 구부리는 ‘스태킹(stacking)’ 기술을 활용했다. 삼성SDI가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웨어러블용 전지는 이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자유자재로 구부러졌다 ... ...
아빠 짚신벌레가 아들만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2014.05.25
E형에는 O형에는 없는 특정 표면단백질(mtA)이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한 짚신벌레에서
분리
된 형제가 ‘동성근친상간’을 벌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문제는 접합 후 유전자가 교환된 후 만들어내는 자손의 성별이다. E형은 반드시 E형의 자손을, O형 또한 반드시 O형의 자손을 만들어낸다. 유전자 ... ...
교육-문화도 떨어진다는데…“국회 미방위에서 과기-방송통신
분리
해야”
과학동아
l
2014.05.25
각각
분리
하는 방안을 놓고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미방위의
분리
문제도 논의됐으나 여야 간의 협의가 원만히 이뤄지지 않아 현 체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결론났다. 출연연 원장을 지낸 한 과학계 원로는 “최근까지도 미방위는 KBS의 해경비판 축소 보도와 같은 현안 ... ...
인텔국제과학경진대회(ISEF) 2014 직접 가보니
과학동아
l
2014.05.23
뭔가를 만들 순 없을까. 민족사관학교 3학년 팀은 음식물쓰레기에 하수처리장에서
분리
한 박테리아를 넣어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들어냈다. 국내 한 커피전문점에서 음식물쓰레기로 나오는 커피 찌꺼기를 무상으로 얻어 활용했다. 제동일 군은 “박테리아는 증식만 시키면 그 수를 자유롭게 늘릴 수 ... ...
그래핀 폐기물로 다시 그래핀 제작?
과학동아
l
2014.05.13
합성한 뒤 다시 투명전극용 그래핀만을
분리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그래핀
분리
시 사용되는 용액을 화학처리를 통해 폐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폐기해야 하는 구리 식각용액을 그래핀 투명전극을 만들 때 필요한 구리촉매 기판 합성의 전해질로 사용하는 실험에 ... ...
별빛 한눈에 쉽게 보는 분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4.04.30
망원경 뒷 편에 직접 부착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 고분산 분광기는 크기가 커 망원경과
분리
해 운영하다보니 빛 손실이 많고 효율이 떨어졌다. 연구팀은 최근 미국 텍사스 맥도날드천문대의 직경 2.7m짜리 망원경에 분광기를 설치하고, 성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박찬 천문연 박사는 “이번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