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뉴스
"
종
"(으)로 총 4,27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④ 암세포 정확히 찾아 찌르는 의료로봇계 로빈후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출시했다“며 ”이후 1~2
종
정도 더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원격장치로 조
종
해 직접 바늘을 삽입하는 로봇은 로빈S가 세계 최초다. 로빈은 올해 말까지 임상시험을 마치고 내년 초 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지금까지 폐암 진단과 간암 치료에서 로빈S를 활용할 수 ... ...
치매 원인 뇌 속 미세아교세포 실시간 관찰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염색하는 원리도 파악했다. 2만 개의 생쥐 유전자를 하나씩 없앤 미세아교세포 2만 여
종
의 라이브러리를 제작했다. 이들 중 염색되지 않는 세포들을 모아 분석하니 염색 성능이 ‘Ugtla7c’라는 유전자 존재 여부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났다. 연구팀은 CDr20 자체는 형광이 약하지만 Ugtla7c 효소와 만나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과속을 하는 이유
2019.05.05
귀염을 부리며 인간을 따르지도 않습니다. 오직 빠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인위적인 육
종
을 통해서 말은 점점 더 빨라졌습니다. 경주용 말은 과도할 정도로 빠르게 달립니다. 야생마와는 비교할 수도 없습니다. 드디어 인간은 말보다 더 좋은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자전거와 기차가 등장하고, 이내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온난화로 해양생물이 육지생물보다 2배 빨리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4
따라 어떤
종
과 생태계가 온난화에 의해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을지 이해하는 것이 생물
종
을 보존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해양이 인간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계속 가져다주게 하려면 새로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
지구 생물다양성 감소 뚜렷… 이대로면 인류도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19.05.03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게 IPBES의 결론이다. 로버트 왓슨 IPBES 의장은 “
종
과 생태계, 유전적 다양성의 감소는 이미 모든 국가와 인류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2050년까지 생물다양성 감소에 따라 인류가 겪을 상황을 여섯 개 시나리오로 나눠 제시하고 각국 정부가 ... ...
티베트 고원지대 차지한 첫 인류는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치아 및 뼛조각이 더 발굴됐고 역시 게놈 해독을 통해 데니소바인임이 밝혀졌지만,
종
의 특성을 알 수 있을 만큼 큰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실제 모습은 미궁에 빠져 있었다. 연구팀은 1980년 티베트에서 발굴된 턱뼈를 분석했다. 화석의 주인공을 파악하는 ‘고게놈학’은 화석 속에 남은 파편화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된다면 계절불일치로 위기를 맞는
종
들도 늘어날 것이다. ‘소로의 야생화 일기’에는 콩코드 식물 역사의 권위자인 레이 안젤로의 ‘식물학자 소로에 대하여’라는 글이 함께 실려있다. 이 글에서 안젤로는 소로가 얼마나 야생화 관찰에 ... ...
한반도 생태계 지키는 2521명 뭉쳤다…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구사랑탐사대의 데이터를 활용해 일부 생물
종
서식지와 행동 특성, 보전 정책에 대한 논문이 출간되기도 했다. 이날 발대식에 앞서 이화여대 자연과학대학과 동아사이언스는 시민의 과학 활동을 더욱 증진하는 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하는 업무협약(MOU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은 왜 편리한 날개를 버렸나
2019.04.24
할 수 있고 새끼를 낳을 수 있는 개념이다.
종
이 나누어져 새로운
종
이 탄생하는 과정을
종
분화(種分化, speciation)라 하는데 지표성 곤충에서 자주 발생한다. 바다, 강, 산맥 등의 자연스러운 지리적 장벽에 의해 격리되는 일이야 그럴 수 있지만 인위적 간섭으로 산허리를 자르고 도로를 내는 경계가 ... ...
‘유전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밝혔다. 연구팀은 이렇게 얻은 유전체 정보 가운데 표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일
종
의 ‘핵심’ 지표가 되는 염기서열을 280만 개 정했다. 30억 개에 달하는 유전체 모두를 비교할 수 없으므로, 중요한 280만 곳만 비교하면 표준과 얼마나 다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양 책임연구원은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