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정
기획
의도
설계
스케줄
일정
구상
d라이브러리
"
계획
"(으)로 총 5,798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1희망의 옹달샘 - 무동력 정수기마실 물을 구하기 위해 하루에 몇 km씩 걷는 사람들. 비록 흙탕물이건만 살기 위해 그런 물이라도 마신다.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를 다룬 다큐 ... 빨리 확보해야 한다”며 “앞으로 산업용 중장거리 라이다와 고속 3D 카메라를 연구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 ...
지질자원연, 국제 CO2 저장 프로젝트 참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관한 협약서를 교환하고 2015년까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
이다. CO2CRC는 100명 이상의 연구원이 CO2 포집 및 저장분야 기술을 7개국 33개 기관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CO2 지중저장은 석탄화력발전소 등 대량의 CO2가 발생하는 곳에서 모은 CO2를 깊은 지하의 유전이나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그는 ‘웃음의 과학’에 이어 행복도 과학적으로 풀어보겠다는
계획
을 가지고 있다.“책을 써보니 과학 교양서가 예능과 닮았다는 사실을 새로 알았습니다. 예능이 재미뿐 아니라 진정성을 갖춰야 하는 것처럼 과학 교양서도 두 가지를 모두 갖춰야 합니다. 리처드 도킨스는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교수는 이어 “이런 초박막 반도체를 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계획
을 밝혔다. “인공 심장 박동기에 기존 반도체를 쓰면 심장이 운동할 때 반도체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초박막 반도체는 심장에 밀착돼 있기 때문에 심장과 같이 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HMP)’를 시작했다. 우리 몸에서 살고 있는 미생물 3000종의 게놈을 밝히겠다는 원대한
계획
이다. 연구자들은 지난해 5월 ‘사이언스’에 첫 결과로 박테리아 178종의 게놈을 밝힌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까지 총500여 종의 게놈을 해독한 상태다.‘네이처’ 1월 27일자에는 장내 미생물인 비피더스균이 ... ...
남자가 여자의 눈물에 약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여자의 눈물은 최고의 무기라는 말이 있어요. 아무리 냉정한 남자라고 해도 여자가 눈물을 흘리면 마음이 약해지기 때문이지요. 남자가 여자의 눈물에 약해지는 이유가 눈물의 화학작 ... 앞으로 남자의 눈물이 여자에게 어떤 특별한 화학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할
계획
이랍니다 ... ...
Part1. 왜지구 공학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배출도 선진국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는 말입니다. 개도국은 자국의 상황에 맞게 감축
계획
을 수립할 여유가 있다고 선진국에게만 너무 큰 부담을 주는 거 아닙니까?C국 게다가 D국은 경제발전에 해가 된다며 2001년에 교토의정서를 탈퇴했습니다. A국과 D국이 배출 의무 대상에 들어간다면 우리도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서울 근처만 가면 막히는 데는 다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권 연구원의 연구는 도시
계획
을 세울 때 고려해야 할 조건이 의외로 단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바로 인구다. 최근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해주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사람들이 아무 생각 없이 세운상가와 공공기관의 ... ...
전기 대신 ‘공기’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전력 수요 급증에 대처할 수 있는 신개념 ‘공압 배터리’가 국내에 건설된다. 전기를 압축공기로 바꿔 지하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부족한 시점에 꺼내 쓰는 ‘지하 압축 ... 내보낼 수 있는 시험 시설을 제작 중이며 앞으로 3만 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300MW 출력의 CAES를 개발할
계획
이다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3월부터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다른 경쟁자에 비해 1년 이상 빠르다. 김 교수는 “
계획
대로 진행된다면 우리나라가 최초로 마지막 변환상수를 발견할 수 있다”며 “처음에는 외국 과학자들이 의구심을 표했지만 지금은 학회에서 세 나라가 발표하면 우리나라가 가장 주목을 받는다”고 말했다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