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타이탄의 대기 아지랑이, 형성 실마리 풀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과정에 고온의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도
확인
됐다. 연구팀은 이 과정이 타이탄 대기를 만드는 방아쇠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렇게 만들어진 유기물 대기가 생명체를 만들 가능성에 대해서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다. 연구 ... ...
[현장취재] 수청이와 제비의 계절이 돌아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위해 기다란 셀카봉으로 둥지 안을 들여다 봐야 하지요. 그래야 알이나 새끼가 있는지
확인
할 수 있으니까요. 이런 방법으로 제비가 번식하는 지역을 알아내는 것이 탐사의 목적이랍니다. 지사탐 대장인 장이권 교수님은 “지사탐 대원들이 업로드하는 자료는 과학자들의 논문과 수원청개구리 보호 ... ...
[수학뉴스] 우주에선 중력파로 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성질을 아핀 공간에서 분석해 왜곡 없이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이론적인 가능성을
확인
했습니다. 중력파는 두 개의 블랙홀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처럼 우주에서 엄청난 중력 변화가 발생할 때 그 에너지가 마치 파도처럼 시공간의 진동으로 전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아핀 공간은 유클리드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완성하고 60대 후반에 노벨상을 받는 경우가 늘었다. 이는 분석 대상으로 삼은 기간에도
확인
된다. 2010년 그래핀을 발견한 공로로 안드레 가임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는 당시 나이가 36세로, 매우 이른 나이에 노벨상을 받아 이례적이라는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기후환경에서 자라는 밀을 가져다 파종부터 수확까지 어떤 유전자들이 발현되는지
확인
하면 물과 농약, 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고도 환경에 잘 적응해 자라는 품종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고온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는 품종이 필요하다. 당장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핵융합실증로(DEMO·데모)를 지어 검증을 마쳐야 한다. ITER로 핵융합 발전의 가능성이
확인
되면 이후 DEMO를 통해 핵융합 반응부터 전기 생산에 이르기까지 핵융합발전소 운영의 전 과정을 실증하는 셈이다. DEMO는 소비전력 대비 40~50배 높은 전력 생산을 목표로 한다. 즉, 목표 에너지증폭률(Q)이 40~5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5 같은 문제를 여러 번 풀어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문제의 답을 바로
확인
하는 것보다는, 문제를 우선 풀어본 뒤 문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서 스스로 해결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확인
했다. 연구에 참여한 김재희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친족
확인
도 30% 이상 맞히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9.00 ... ...
윌리 웡카의 초코초코 퀴즈 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확인
을 해야 하는데, 겉보기엔 아무 차이가 없고 특별한 냄새도 나지 않아서 먹어서
확인
해볼 수밖에 없습니다. 이 설사약은 아무리 조금 먹어도 딱 세 시간 뒤면 반응이 오고 일주일간은 화장실에 갇혀있다시피 해야 합니다. 그런데 3번 제조실에서 오늘 만든 초코케이크는 무려 8192개나 됩니다.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줄였으며, 광집게로 집더라도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에 생리적인 손상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광집게가 탄생하기 전에는 미세 입자를 조작할 때 두 가지 문제가 있었다. 가령 손가락으로 쌀알을 집어서 옮긴다고 가정해 보자. 만약 손가락이 너무 뚱뚱하다면 정교하게 쌀알을 집어 올리기가 힘들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