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제공되는 DB로는 각종 신문의 뉴스와 증권정보 기업/경제통계 물가정보 부동산정보
문화
행사정보 등 43종류가 있다.KIET라인은 천리안Ⅱ나 KETEL과는 달리 생활정보 중심이 아니라 과학기술 무역 산업 등에 관한 전문정보가 주축이다. 즉 DB를 검색함으로써 곧바로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이 아니라 DB를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융기도 높지 않으며 키는 1백80㎝ 정도로 지금의 백인종과 유사하다. 이들은 후기 구석기
문화
를 이룩했었다.우주달력/1백50억년을 1년으로단군 조선 개국은 12월 31일 23시 59분 50초우주력으로 따지면 인간의 역사래야 고작 5분에 불과하다.우주의 나이는 얼마나 될까. 빅뱅(Big Bang)이후 현재까지 얼마나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보고 있다. 허박사가 북한과 접촉창구를 갖게된 것은 86년 한국해양연구소가 미국동서
문화
센터와 동북아 해양자원관리를 위해 이 지역 당사국간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합의한 데서 비롯됐다.동해와 황해개발을 목적으로 한 이 학술회의에 87년과 88년에는 한국 중국 일본 미국만이 참여했으나 8 ... ...
수출부진과 내수폭발의 희비쌍곡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늘어났으며 보급 역시 1백만대를 돌파했다. 컴퓨터 마인드가 어느 정도 확산돼 컴퓨터
문화
가 정착단계에 접어든 것이다. 이것은 다시 'PC의 가전제품화'를 재촉했으며 이에 따라 기존 업계의 유통망 확대경쟁이 뜨거워졌고 심지어 하드웨어 생산경험이 없는 선경 삼성물산 럭키금성상사 등도 전문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사람들은 자기가 살고 있는 땅, 자기나라가 이 세상에서 가장 크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문화
민족일수록 그런 의식이 더 강했다. 조선학자들은 중국이 세계에서 제일 크고 그 중심이 되는 나라이지만 그 다음으로 조선이라는 커다란 긍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땅덩어리도 커야 한다는 생각을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일컬어지는 마야문명이 멕시코와 과테말라 지역에서 꽃을 피우고 있었다. 또 안데스산맥
문화
인 잉카문명이 현재의 페루와 볼리비아에서 그 찬란한 빛을 발하고 있었다. 상상을 초월하는 불가사의한 잉카문명의 유적들을 되돌아보면서 필자는 잉카사람들의 지혜에 깊은 찬사를 보낼 수밖에 없었다 ... ...
박정래씨 최우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정보
문화
센터가 컴퓨터통신의 활성화를 위해 지난 9월 실시한 '컴퓨터온라인 백일장'에서 '유행'을 주제로 산문부문에 응모한 박정래씨(경기 안양시 석수1동)가 ... 3백76편 산문은 1백58편이었는데 고등학생들의 참여가 가장 많았다. 시상식은 10월13일 정보
문화
센터 에릭슨홀에서 거행됐다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대한 기억력도 예전과 다름없다.북으로 간 제자들 가끔 생각최근 남북총리회담이나 체육
문화
교류가 서울 평양을 오가면서 진행되는 것을 보면서 이박사는 가끔 해방직후 혼란스러웠던 대학분위기를 떠올린다고 한다. 조선인으로는 드물게 일본 교토(京都)제국대학 교수직을 맡고있던 이박사는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보존되기 시작했는지도 정설이 없다. 이는 김두종(金斗鍾)씨가 그의 저서 '한국고인쇄
문화
사'(韓國古印刷文化史, 서울, 1980년)에서 밝히고 있다.그가 요약한 바에 따르면, 재주대장경판들은 고려 말까지 강화도에 보관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1398년(태조 7년) 5월에 강화 선원사(禪源寺)로 부터 ... ...
첨단 가전제품 이용도 높이려면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소비자들의 책임이 명백히 규정돼 있는 셈. 즉 사용설명서와 품질보증서를 중시하는
문화
가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제품보증기간과 사용잘못에 대한 책임 소재가 매우 불분명하다.소비자의 입장에서 기업측에 갖는 불만도 타당성을 갖는다. 관악구 신림동에 사는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