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핑그르~! 빈혈이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우리 몸의 곳곳에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피 속의
세포
야. 동그랗게 생긴 빨간
세포
지. 우리 피가 빨갛게 보이는 것도, 네 얼굴이 발그레한 것도 다 적혈구 때문이란다.”“그렇구나~. 그런데 적혈구는 왜 보는데?”“빈혈은 적혈구의 수가 감소하거나 적혈구 속에 헤모글로빈이 부족한 상태를 ... ...
당뇨가 기억력 떨어뜨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당뇨에 걸린 쥐는 코티솔의 분비량이 늘어나며 새로운 뇌
세포
의 생성이 억제되고
세포
의 성장도 멈췄다. 코티솔 분비량이 정상으로 돌아오자 쥐는 원래의 학습능력과 기억력을 회복했다.맷슨 박사는 “이번 연구로 코티솔의 분비량을 조절해 기억력 악화를 막을 수 있다”며 “스트레스를 주는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잠깐, 이 증서에는 피는 한 방울도 원고에게 준다고 하지 않았소. 분명히 ‘살 1파운드’라고만 적혀 있소. 그러므로 증서의 내용대로 살 1파운드를 가질 것. 그러나 살 ... 충분하다”고 말했다. 다발성 골수종*면역 단백질인 글로불린을 만드는
세포
가 암
세포
로 바뀌는 혈액암의 일종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빠지기보다는 볼이나 머리 옆 부분의 살이 먼저 빠진다. 때문에 원하는 부위에서 지방
세포
의 수를 줄이기 위해 지방흡입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지방흡입의 경우 전신마취를 했을 때는 1회에 1.5L 이하로 흡입하는 것이 안전하다. 최근에는 지방흡입을 위한 전처치와 후처치 기법이 많이 발달해 3~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다가가 인산을 붙이면 단백질이
세포
질로 이동하면서 파괴된다. 그 결과
세포
는 분열 조절 기능을 잃고 암이 생길 수도 있다. 신 교수는 미국에서 박사후 연구원(post doctor, 줄여서 흔히 ‘포닥’이라 부른다)을 할 때 이런 메커니즘을 밝혀 ‘네이처 메디신’등 저명한 저널에 논문을 냈다.만화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새로운 신경전달물질일 가능성이 있다”며 “기존 신경전달물질이 신경
세포
에서 근육
세포
로 배출되면서 근육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백혈구 생성조직이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질환 소위 혈액의 암(癌)이며 골수에서 유약한
세포
가 계속 생성되어 건강한 사람의 경우 7,000 전후의 백혈구 수가 10여만에서 수십만에 달하게 된다 1850~1930 독일의 물리학자 실레지아의 그라이비츠에서 출생했고 베를린 대학 부속 천문대에 근무한 후 자기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그 뒤 단백질의 입체구조가 바뀌면서 서로 뭉쳐 결국 뇌
세포
를 파괴해 생기는 질병들이 속속 보고되기 시작했다. 아밀로이드 단백질로 인한 알츠하이머병, 시누클레인 단백질의 파킨슨병, 헌팅틴 단백질이 관여하는 헌팅턴병 등이다. 현대 의학의 과제는 이들 잘못 접힌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7일 생명과학분야 국제저널인 ‘셀’(Cell)에 실렸다.몸 속에서 아군과 적군을 알아보거나
세포
에서 자신이 배달될 곳을 정확히 아는 것 모두 자신의 짝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작용에서 비롯된다. 오 단장은 “생체분자의 구조를 알아야 상대가 자신의 짝인지 아닌지 확신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냉수나 알칼리 등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다나이세리아과(科)의 진정 세균류 몸은 두
세포
씩 밀착된 구균(球菌)이며 서로 부착된 면은 다소 편평하게 되어 있다그 때문에 쌍구균(Diplococcus)이라고 불렸던 때도 있었다그람염색에서는 음성이며 황색 또는 갈색으로 염색되는 경우도 있다병원성이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