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뉴스
"
길
"(으)로 총 4,077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자존감이 높을수록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위 환경에 주눅들지 않고 자신만의
길
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요. 그러나 로이 바움에이스터 심리학과 교수는 자존감이 만능열쇠는 아니라고 합니다. 그의 실험에 따르면 자존감과 작업 효율은 별로 연관이 없었습니다. 마크 리어리 ... ...
내 아이에게 맞는 코딩 장난감 찾아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색의 컬러펜이 들어 있습니다. 검은색 펜으로 선을 그리면 코딩펫의
길
이 만들어집니다.
길
을 따라가던 코딩펫은 다양한 색깔의 펜으로 칠한 마크를 인식해 방향을 바꿉니다. 펜으로 자유롭게 그리고 칠해서 직접 맵을 만들 수 있지요. 이밖에도 코딩북에는 코딩펫으로 할 수 있는 놀이와 미션이 ... ...
6미터 비단뱀이
길
을 막아
팝뉴스
l
2017.12.20
사진은 호주 퀸즐랜드 경찰이 11일 페이스북에 공개한 것이다. 6미터가 넘는
길
이의 뱀이
길
을 가로막고 있었다. 경찰들은 뱀이 스스로 숲으로 들어갈 때까지 기다렸다. 억지로 개입하면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사진은 페이스북에 공개된 후 급속히 공유되면서 큰 화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것보다 더 나은 방법이 없다”고 쓰고 있다. 즉 꾸준한 복습만이 공부를 잘 하는
길
이라는 말이다. 여기에 하나를 더하자면 잠을 충분히 자는 것이다. 잠이 기억을 공고히 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와 더불어 고유망각 과정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이스쿠이에르두는 ... ...
7년 뒤 한국 바꿀 근미래 기술은 무엇?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도시고속도로에 합류한 뒤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교통 체증이 없는 최적의
길
로 직장으로 향한다. 머리 위로 자율비행 개인항공기가 낮게 날아간다. 아직은 치안 유지 등 공공 목적으로 많이 쓰이지만, 개인이 이용할 날도 머지않았다. #3. 일터, 모든 데이터가 연결된 시공간 직장인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7
레벨5에 해당한다. - K. SUTLIFF / SCIENCE 제공 ● 자율주행 자동차 타면 차에 있는 시간
길
어질까? 짧아질까? UC 버클리의 엔지니어인 조앤 워커(Joan Walker)는 특별한 실험을 진행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된 미래의 상황을 현재 운전사가 있는 조건으로 대체해 실험을 설계한 것이다. 그녀는 ... ...
[카드뉴스]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동아사이언스
l
2017.12.13
하지만 이것이 힘들다면 우리가 가진 선한 속성에 집중해 ‘뇌’도 ‘나’도 행복한
길
을 찾아야겠습니다. - 참고: 과학동아 2015년 10월호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 ...
[테마가 있는 영화] 올해 놓치면 아까운 #1 ‘배드 지니어스’
2017.12.09
# 영화 ‘배드 지니어스(Bad Genius)’ 감독: 나타우트 폰피리야 출연: 추티몬 추엥차로엔수키잉, 차논 산티네톤쿨, 에이샤 호수완, 티라돈 수파펀핀 ... 않은 사람. 시간은 한정적이지만 좋은 영화를 보고 싶은 당신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
길
바란다. 인생은 짧고 볼 만한 영화는 너무나 많다 ... ...
“오늘로 한국이 우주발사체 엔진을 확보한 나라가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우주로 솟구쳐 올라갈 엔진의 신뢰성을 마지막으로 점검한 것이다. 75t 추진력으로
길
이 25.8m, 무게 52t의 시험용 발사체를 약 200km 고도까지 밀어 올릴 수 있다. 이 높이면 발사체가 우주공간까지 튀어 올라간 것이다. 한국이 독자적으로 만든 우주발사체가 지구 밖으로 튀어나가는 첫 이벤트가 될 ... ...
과학&기술의 최전선ㅣ조직 세포 원하는대로 복제 '불로장생' 넘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파생한 ‘교차분화줄기세포’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역시 아직은 갈
길
이 멀다. 한국은 줄기세포치료제 연구의 세계 정상급 주자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전 세계 6개 줄기세포 치료제 가운데 4개가 한국이 개발한 것이다. 2011년 처음 승인된 파미셀의 급성심근경색 줄기세포치료제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