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각
인식
감각
집게손가락
센스
관찰
주시
뉴스
"
인지
"(으)로 총 2,6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시각계의 계산모형을 연구했다. ‘네이처’에 부고를 쓴 토마소 포기오가 MIT의 뇌․
인지
과학과 교수인 이유다. 글 말미에서 포기오는 글레이저의 천재성을 부러운 듯이 이렇게 묘사했다. “그에게 세계는 신기한 게 가득한 정원이었다. 글레이저는 분명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았음에도 ... ...
애완견, 주인 얼굴만 봐도 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띄우고 개의 시선을 추적하고 행동을 분석했다. 시각자극만 주어지는 상황에서 개의
인지
능력을 알아본 것이다. 그 결과 개는 주인의 얼굴이나 함께 사는 다른 개의 얼굴이 스크린에 나오면 더 오랫동안 화면을 응시했다. 얼굴 부위 중에서 눈을 주로 응시하는 특징이 있었다. 사람처럼 개도 ... ...
크리스마스 다가오면 어김없이 기분 들뜨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2.20
사람은 상대적인 박탈감을 심하게 겪는 것이다. 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는 “
인지
가 강조되는 스키마와 행동에 초점이 맞춰지는 스크립트가 강하게 작용하는 시기인 만큼 기대와 어긋나는 상황으로 인한 허탈감이 더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
마흔 된 아들도 엄마 눈에 아기인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것처럼 느껴졌다”고 답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커프만 교수는 “이번 연구는 사람의
인지
능력이 완벽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며 “막내가 한 가정에서 ‘영원히’ 막내일 수밖에 없는 이유가 밝혀졌다”고 말했다 ... ...
[2014 대학가는 길]어려워진 수능, 하향지원 바람 분다
동아일보
l
2013.12.13
대학에 맞춰 진학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선호하지 않는 학과라 하더라도 조금이라도
인지
도가 높은 대학에 지원하려 한다. 이때 주로 지원참고표(배치표) 아래쪽에 있는 대학에 지원한다. 그러나 이번 정시모집에선 조금 위험할지 모른다. 올해 수험생들의 하향지원이 두드러질 가능성이 크기 ... ...
게임은 정말 '악의 근원'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향상시키는 ‘뉴로레이서’라는 3차원(3D) 게임을 만들어 60~85세의 노인에게 시켜본 결과
인지
능력이 실험 전보다 4배가량 향상됐다는 결과를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해 표지논문으로 실리기도 했다. 미국 워싱턴주립대 연구진은 ‘뇌-뇌 인터페이스(BBI)’를 매개하는 게임으로 한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④ PNAS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특수성을 인정해 게재를 승인했다”라며 “PNAS는 과학 전 분야에서 최고 학술지로서
인지
도를 갖는다”고 말했다. PNAS는 논문 게재와 공개 방식이 독특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논문 게재는 ‘하이브리드 오픈액세스’ 방식으로 이뤄진다. 게재를 신청하는 연구자가 일정 금액을 낼 경우 게재와 ... ...
까마귀 고기 먹었냐고?...까마귀 얼마나 머리가 좋은데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하는 동안 뇌 속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새의 뇌에서 최고 수준의
인지
를 담당하고 있는 부위인 ‘니도팔리움 코도라터랄’(nidopallium caudolaterale)에서 독특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똑같이 정답을 맞히는 상황이라도 까마귀가 스크린에서 앞 서 보여준 그림과 같은 ... ...
'응사' 윤진, 술 마시면 횡설수설하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음주 상태에서는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세타-감마 교차주파수 동기화’ 정도가 높으면
인지
능력도 높아져 이성적인 판단이 수월해지고, 반대로 낮으면 이성적으로 행동하기가 어려워진다. 연구팀은 두 그룹으로 이뤄진 일반인 피실험자 21명을 대상으로 술이 섞인 오렌지주스를 마셨을 때와 ... ...
해마가 느리다고?먹이를 보면 벌보다 빠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6
도망가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해마가 움직일 때 물결이 생기지 않아 요각류가 위험을
인지
못했다는 점인데, 이는 해마의 콧구멍 앞과 윗부분의 생김새가 날렵해 뭉툭한 모양의 다른 물고기처럼 입 앞에서 물결을 일으키지 않았기 때문. 배드 게멜 박사후연구원은 “해마는 먹이의 1mm 거리까지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