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도 패러독스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데아닌이 글루탐산의 과도한 흥분자극을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 일본 나고야대 심리
학과
키무라 켄타 교수팀은 스트레스 실험 전이나 중간에 데아닌을 섭취할 경우 스트레스에 따른 심박수 증가나 타액 면역글로불린A(s-IgA) 수치 증가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이에 대해 ... ...
과학으로 벗겨본 남녀 탐구생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후에서야 아프다고 우는지 이해할 수 없어요.아마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 및 진화 생물
학과
미카엘라 하우 교수가 이 자리에 있었다면 테스토스테론 효과가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거에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싸울 때 많이 분비돼요. 하우 교수팀은 유럽산 참새(Passer domesticus) 수컷의 ... ...
‘왕눈이’ 동물들의 특별한 취미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마련한 굴 앞을 더러운 똥으로 어지럽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 플로리다대 동물
학과
레베이 더글라스 교수팀은 굴파기올빼미 굴 주변에 똥을 치웠을 때와 치우지 않았을 때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관찰했다.그 전까지 동물학자들은 굴파기올빼미가 제 냄새를 없애 오소리 같은 천적으로부터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실망으로 바뀌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이스라엘 테크니온이스라엘공대 생물
학과
엘리저 리프쉬츠 교수팀은 2006년 4월 18일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서 토마토에서 FT에 해당하는 유전자인 SFT의 mRNA가 이동하는 현상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그 뒤 닐슨 교수는 ... ...
건축환경계획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건설회사 연구소, 설비설계사무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취재 한마디서울대 건축
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건축환경계획은 우리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연의 에너지를 활용하고 실내 에너지를 절약하는 환경친화적인 전공 분야임을 새롭게 알게 됐다 ... ...
만화를 그리는 물리학자, 이기진 교수님의 보물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네모난 얼굴에 뾰족뾰족 뿔이 달린 노란 로봇이 기자를 맞았어요. 어흥하고 튀어나올 것 같은 호랑이 민화에 주둥이 깨진 기름통도 보이네요. 여기가 어디냐고요? 바로 호기심 대장, ... 그럼 교수님께 만화로 그 비법을 들으며 마치겠습니다! 그림 : 이기진(서강대학교 물리
학과
교수 ... ...
‘꿀근육’ 있어야 진짜‘꿀벅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지난해 8월 국제저널 ‘관절염 치료와 연구’에 발표했다. 이 결과에 대해 삼육대 체육
학과
이재구 교수는 “관절 주변에는 허벅지에서부터 내려오는 근육이 있는데, 이런 근육이 관절 주변을 둘러싸고 충격을 흡수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근육량이 적고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많은 도전적인 분야다. ‘세상의 모든 경계에선 꽃이 핀다’고 하지 않았던가. 신경과
학과
건축학이 만난 신경건축 분야에서 우수한 인재들이 융합적인 연구의 꽃을 피우길 기대해 본다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동료 교수들과 학생들을 떠나서 아쉽지만 그동안 부족함을 느낀 생물
학과
나 의과대
학과
의 원활한 공동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을 것 같다”며 물리와 전자, 생명, 의학이 어우러지는 융합형 연구를 계속 이어나갈 의지를 내비쳤다. 한층 더 깊어지고 넓어질 그의 융합 학문세계를 기대해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망원경의 발명 이래 인류는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최근에는 반경이 수m인 대형 망원경뿐 아니라 허블우주망원경과 같은 인공위성 탑재 망원경에 이르기까지 규모나 성능에서 획기적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노력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먼 우주를 보는 것이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