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뉴스
"
길이
"(으)로 총 2,770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로 진짜 피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14.07.14
개발됐다. 사실상 인공혈액이 아닌 ‘진짜 피’를 대량으로 생산해 공급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것이어서 학계와 의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고르 슬러크빈 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적혈구와 백혈구를 비롯해 각종 혈구세포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고 ... ...
시조새 화석 ‘종결자’ 등장
과학동아
l
2014.07.04
중심부는 99~114mm로 길지만 양쪽 끝부분은 짧다. 또 중심부 깃털은 깃대를 중심으로
길이
가 같은 반면 양쪽 끝의 깃털은 비대칭이다. 깃대를 중심으로 꼬리 가장자리에서 바람을 직접 받는 부분의 깃털이 더 짧고 뻣뻣하다. 따라서 짧은 깃털이 긴 깃털보다 바람의 힘을 더 잘 견딜 수 있다. 이런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점은 단백질이 아니라 RNA 가닥이 타깃이 되는 게놈 위치를 찾는다는 것. 즉 염기 20여개
길이
의 RNA서열만 바꿔주면 원하는 자리에서 ‘게놈편집’을 할 수 있다. 반면 ZFN과 TALEN은 단백질이 게놈 서열을 인식하므로 원하는 위치에 가려면 아미노산 서열을 바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바꿔야하므로 ... ...
‘2011MD’를 잡아라, 소행성 탐사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06.27
A의 일차 타깃이다. 올해 2월 NASA가 스피처 우주망원경으로 2011MD를 분석한 결과 소행성의
길이
는 약 6m이며, 구멍이 많이 뚫린 다공성(多孔性) 구조로 밝혀졌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2011MD가 단일 소행성이 아니라 돌무더기 여러 개가 뭉친 형태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미셸 게이츠 NASA ARM ... ...
단식의 과학
2014.06.16
움푹 파였다. 그러나 이렇게 육신을 학대해 극심한 고통을 자초하는 게 해탈의
길이
아님을 깨달은 싯다르타는 ‘죽을 먹어야겠다’고 결심한 뒤 우유죽을 먹고 기운을 차린 뒤 그늘이 시원해 보이는 보리수 아래에서 선정에 들어간다. 그리고 마침내 깨달음에 이른다. 이때가 기원전 589년으로 ... ...
브라질 월드컵엔 '아침형 인간'이 유리
과학동아
l
2014.06.11
길이
가 평균보다 길면 아침형 인간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반면 이 유전자의
길이
가 평균 보다 짧으면 저녁형 인간이 된다. 아처 교수는 2007년 이 유전자의 영향이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도 새롭게 발견했다. 청소년기에는 유전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아침형이나 ... ...
세포 ‘안테나’ 고장 냈더니 발가락이 7개
과학동아
l
2014.06.10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세포의 다양한 신호를 인식해 ‘안테나’ 역할을 하는 섬모의
길이
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섬모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지면 장기를 만드는 데 중요한 신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발생이상이 나타난다는 것. 실제로 생쥐의 유전자를 조작해 ICK를 만들지 못하게 ... ...
클릭 한번으로 중국 최신 과학기술이 쫙~
과학동아
l
2014.06.09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중국 과학계의 최신 연구성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국내 과학정보 사이트 NDSL(www.ndsl.kr)을 통해 중국의 최신 과학기술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중국은 지난 10년간 국제 학계에 발표한 누적 논문 수 ... ...
도시 개구리의 짝짓기 노하우
과학동아
l
2014.06.08
연구팀은 개구리 짝짓기가 활발했던 지난해 2~9월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 위치한
길이
10m, 폭 0.5m인 배수로 11곳과 그 주변을 관찰 지역으로 지정했다. 그리고 인근에 서식하는 수컷 청개구리들이 어느 위치에서 구애활동을 하는지 지켜봤다. 그 결과 배수로 안쪽으로 들어가 울음소리를 내는 ... ...
약초와 독초 헷갈리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4.06.05
식물은 특히 잎을 구분하기 어렵다. 다 자란 잎의 경우 비비추 잎이 은방울꽃의 잎보다
길이
는 다소 작지만 폭은 좀 더 넓다. 또 비비추 잎의 가장자리에서는 가느다란 잎주름을 확인할 수 있고, 빛깔도 은방울꽃의 잎보다 엷은 편이다. 3. 원추리와 여로 원추리(좌)와 여로(우) - 농촌진흥청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