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스페셜
"
해
"(으)로 총 2,5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형성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준원 녹색성장정책관의 ‘이것만은 꼭!’ △ 사회를 위
해
봉사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자. △ 농업인이라면 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농사를 지어보고 소비자라면 음식물을 낭비하지 말자. △ 장기적인 안목으로 R&D에 적극 투자하고 조급하게 성과를 바라지 말자.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분업체제 강화 필요. 산업화 역량, 기초기술 역량 키우려면 연구기관끼리 협력
해
야. 장종환 센터장은 - 1973 서울대 화학과 학사 - 1975 서울대 대학원 물리화학과 석사 - 1982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구조결정학 박사 - 1982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연구원 - 1985 미국 일리노이대 약학대학 겸임교수 - 1991 ... ...
떠오르는
해
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해
양정책팀장 -2008년 국토
해
양부
해
양정책본부
해
양개발팀장 -2011년~현재 국토
해
양부
해
양환경정책관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
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확대
해
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필요, 인력데이터 확보
해
필요 인력 적재적소에 배치
해
야 이용석 과장은 -1996년 2월 순천향대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졸업 -1998년 2월 순천향대 생물학과 석사 -2002년 8월 순천향대 생물학과 박사 -2002~2005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연구센터 유전체구조분석실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꼭!’ △독립된 연구자로 홀로 서기 위한 박사후연구원 정책을 마련
해
야 한다. △
해
외 한인 과학자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박상원 회장은 - 1996년~2000년 고려대 생명과학부 학사 - 2000년~2002년 고려대 생명공학원 석사 - 2002년~2007년 고려대 생명공학원 박사 - 2008년~현재 미국 하버드대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분야에 스타 과학자를 키워야 한다. △정부는 장기적 안목으로 기초 연구에 지원
해
야 한다. 김동욱 단장은 -1989년~1991년 고려대 대학원 유전공학 석사 -1993년~1996년 일본 동경대 생명공학과 박사(일본 국비 유학생) -1997년~2007년 미국 예일대, 하버드 대, 남가주대 연구원 및 교수 -2003년~현재 연세대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국내 생명공학(BT) 산업은 2009년 기준 5조6362억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2000년 1조1795억원 규모에서 10년 동안 5배 가까이 고속 성장한 것이다.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도 ... 전략이 필요하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
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이것만은 꼭!’ △국내 의대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려면 임상의학 연구환경을 개선
해
야 한다. △예측 가능한 국가 연구지원 체계를 갖춰야 한다. 현택환 교수는 - 1983년~1987년 서울대 화학과 학사 - 1987년~1989년 서울대 대학원 화학과 석사 - 1991년~1996년 미국 일리노이대 화학과 무기화학전공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한국 생명공학(BT) 분야는 최근 산업화 단계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BT 연구성과가 꾸준히 쌓이고 사업화 성과 ... 인재들에게 꾸준히 알려야 한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
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유병린=생명자원소재산업화라고
해
서 교과부가 기초 연구를 한 것을 우리가 갖고 와 이어달리기 연구를 하고 있다. 예산타당성 검사도 신청했다. 교과부가 한 연구를 농림부가 산업화한다는 측면에서 국가 R&D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사례라고 본다.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