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8,59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09
모든 생각을 압도하기 때문이다.“여자는 약하지만 엄마는 강하다”는 말이 있다. 그런
데
여기에 “엄마는 똑똑하고 용감하다”는 말을 덧붙여야 하지 않을까. [처녀 생쥐(왼쪽)와 임신한 생쥐(오른쪽)의 내측 시삭전야 뉴런을 비교해보면 차이가 뚜렷하다. 임신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 ...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
과학동아
l
201209
맘 편하게 잠을 자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 “심리적으로 불안한 마음이 앞서기 때문인
데
결국 완벽한 안전성을 보여줘야 무인자동차가 상용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자동차는 더 이상 어느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운송수단만은 아니다. 스스로 안전을 지키거나 움직이는 ... ...
화성탐사 특별기획1 - 큐리오시티가 본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1209
정반대 방향으로 돌린 후 이 사진을 찍었다. 그림자의 위치가 태양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어깨를 으쓱이다 - 내비게이션 카메라가 큐리오시티의 왼쪽 뒤편을 촬영한 모습이다. 사진의 왼편으로 큐리오시티의 파워서플라이가 보인다. 파워서플라이 오른쪽으로 지구와 교신을 위한 ... ...
광합성 하는 곤충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209
필요하지만 직접 합성하는 동물은 드물다. 식물을 섭취하면 쉽게 얻을 수 있고, 만드는
데
에너지가 많이 드는 ‘비싼’ 색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딧물은 이 색소를 스스로 합성할 수 있는 희귀한 동물이다.연구팀은 완두수염 진딧물(Acyrthosiphon pisum)이 몸 색깔에 따라 카로티노이드 농도가 ... ...
뿔이 큰 수컷 장수풍뎅이가 더 매력적인 이유
과학동아
l
201209
매력을 느끼는 것이다.당뇨병 환자들에게 필수인 인슐린은 세포가 영양소를 흡수하는
데
큰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인슐린은 세포 분화와 조직의 성장에도 크게 관여를 한다.연구팀은 이러한 인슐린 작용을 조절해 수컷 장수풍뎅이 신체 부위의 발달 정도를 분석했다. 외부 RNA를 장수풍뎅이의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09
방식이 있다. 막 방식은 복통을 일으키는 크립토스 포리디움 등 병원성 미생물을 거르는
데
효율적이지만 국내에서는 널리 쓰이지 않는다.결론을 이야기하면, 기존 정수처리를 거친 수돗물이라면 먹는 물 자체로는 문제가 없다. 일각에서는 고도정수처리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현재 사태 ... ...
상어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09
많이 잡히고 있다. 특히 중국인이 좋아하는 샥스핀이란 요리에 상어 지느러미가 쓰이는
데
, 이 때문에 수많은 상어들이 잡혔다가 지느러미가 잘린 뒤에 다시 바다에 버려져 안타깝다.경골어류에 비해 상어는 매우 적은 수의 새끼를 낳는다. 심지어 어미 뱃속에서 가장 먼저 부화된 새끼 상어가 미처 ... ...
내 곁에 외계인
과학동아
l
201209
이르기까지, 각양각색의 모습을 지닌 행성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탐색 대상이다. 이 가운
데
어디에 생명체가 존재할지 가슴이 두근거린다. 토크콘서트 마지막에 마임 공연가들은 작은 손전등 하나로 천구를 비추며 애타게 ‘쌍둥이 지구’를 찾았다. 과학자들의 탐험이 이보다 쉽지는 않을 테지만, ... ...
컴퓨터가 부리는 독심술
과학동아
l
201209
읽어내는
데
성공했다. 뇌공학이 발전하면서 기계가 사람의 감정을 읽고 반응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람이 기계나 컴퓨터와 교류할 수 있는 수단인 인터페이스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키보드가 유일한 입력수단이었던 초기 개인용 컴퓨터에 마우스가 보급된 지 30여 년이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09
‘가막못’이 있다. 여기서 나온 실개천이 흘러가는 길에는 9개의 다리가 있다. 그런
데
다리 이름이 없다. UNIST 출신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수상자의 이름을 따서 다리 이름을 붙이겠다는 의도다. 첨단융합학문분야의 글로벌 리더를 배출하겠다는 UNIST의 비전을 가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