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생물"(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리미엄 리포트]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사중나선2020.10.09
- 과정에서 구아닐산 4개가 모여 사각 구조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후 영국의 생물물리학자 아론 클럭은 실제로 우리 몸속에서도 DNA 4중나선 구조가 형성될 수 있음을 주장했다. 클럭은 4중나선 구조가 만들어지려면 구아닌끼리 후그스틴 염기쌍을 이루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 가지 중요한 ... ...
- 국립감염병연구소 초대 소장에 장희창 전남대병원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0.10.08
- 장희창 국립감염병연구소 초대 소장.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은 8일 장희창 전남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를 국립감염병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임명했 ... 현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전문위원회 위원과 화순전남대병원 감염관리실장, 여수검역소 생물안전위원회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2020.10.08
- 사실을 밝혀내면서 주목 받기 시작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당시 이미 유명했던 구조생물학자인 다우드나 교수를 만나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두 사람은 크리스퍼RNA와 트레이서RNA를 결합시켜 단일가이드RNA를 만들었고, 이를 캐스9과 결합시켜 원하는 DNA를 자르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2020.10.08
- com/news.php?idx=34658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동아사이언스 l2020.10.08
- 맞췄다는 평이다. 그 외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인간이나 동물, 식물 세포 등 진핵생물에 적용해 실질적인 치료와 농작물 개량에 응용할 길을 연 장펑 미국 브로드연구소 교수와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선임연구위원도 수상에서 제외돼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들은 크리스퍼 ...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재종합)2020.10.07
-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의 수상은 불발됐다.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는 “예상했던 결과”라고 설명했다. 현 교수는 “노벨화학상은 순수화학과 생화학, 재료 소재 화학 세개 분야에 돌아가면서 준다”며 “아쉽게도 ... ...
- 노벨 화학상 수상한 50대 여성 화학자들, 그들은 누구동아사이언스 l2020.10.07
- 후 2015년부터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로 일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2016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기조강연 연사로 초청돼 방한한 후 가진 동아사이언스와 인터뷰에서 “대학원 시절을 포함해 25년간 5개국, 9개 연구소를 떠돌며 비정규직 연구원으로 일했다”며 “크리스퍼를 발견하기 2년 전에는 ... ...
- "기생충 감염 소·양·염소, 지구 온난화 악화시킨다"연합뉴스 l2020.10.07
- 메탄 방출량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의 일원인 아이메 클라센 미시간대 생물학 교수는 "과학자들이 미래 탄소 배출을 예측할 때 가축과 이들의 전염병 내용을 실험에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동아사이언스 l2020.10.07
- 인터뷰를 하며 이같이 말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지난달 12∼14일 열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회장 최준호) 정기학술대회에 기조강연 연사로 초청돼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 크리스퍼는 최근 생명과학계에서 가장 ‘핫’한 기술로 꼽힌다. 질병을 유발하는 비정상적인 유전자를 잘라 없애거나 ...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동아사이언스 l2020.10.07
-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식량 작물의 경우 유전공학을 이용한 기존의 유전자변형생물체(GMO)와 크리스퍼 작물을 동일선상에서 볼 것인지 여부가 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도마에 올랐다. 다우드나 박사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가격을 낮춰 크리스퍼가 여러 사람의 삶을 바꾸는 기술이 되게 할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