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지사탐의 꼬마 파브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보기만 해도 오싹한 쌍살벌을 1년간 꾸준히 관찰한 친구가 있어요. 바로 지구사랑탐사대 현준서 대원이에요. 준서는 여느 곤충학자 못지 ... 또 생물을 좋아하는 다른 분들과 친해질 수 있는 것도요. 제가 훌륭한 곤충학자가 된다면 그건 지구사랑탐사대에서 만난 연구자분들 덕분일 거예요 ...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속도가 너무 빨라서 주로 관측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만 연구하고 있었다. 미국 UCLA 지구및행성우주과학과 조나단 아르노 교수팀은 목성의 대기를 최초로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위해 기계공학 실험에 쓰이는 대형 회전 테이블을 이용했다. 이 장치는 1분에 120번 회전할 뿐만 아니라 1t의 무게를 ... ...
- Intro. 떠내려가는 회의론 기후변화는 왜 사실인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구온난화는 중국 정부가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기 위해 만들어낸 것이다.”트위터와 연설을 통해 ‘기후변화는 거짓말’이라는 주장을 반복했던 도널드 트럼프가 제45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기후변화 과학에 큰 위기가 닥쳤다. 트럼프 행정부는 화석 연료 개발을 통해 경제를 ... ...
- 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다시 지표로 방출된다. 만약 지구가 흡수한 에너지 모두를 대기권 밖으로 방출했다면 지구 복사 온도는 255K(약 -18℃)이 될 것이다. 그러나 대기층이 에너지를 흡수해 재방출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288K(약 15℃)을 유지한다. 지표면 온도가 33℃가량 높아져서 생물이 살아가기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 있는 층서 논문을 해외 저널에 투고할 예정이다.극지의 기후, 환경을 연구하는 것은 지구 전체의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남북극 빙하의 변화가 해수면 변동을 일으켜 결국 중위도 지역의 인류와 생태계를 위협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의해 스발바르를 수십만 년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살아 있는 화석 산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200만 년 전 지구에 출현한 원시적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려요. 하지만 현재는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지요.과거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했지만, 그 수가 꾸준히 감소해 2002년에는 800여 개체만 발견됐어요. 천적인 호랑이나 표범 등이 사라져 수가 늘어나야 ... ...
- Part 2. 빙하기 땅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거대 동물군’이라 부를 정도지요. 바로 빙하기의 환경 때문이랍니다.빙하기는 지구상의 물이 얼어붙는 시기이기 때문에 바다의 표면인 ‘해수면’ 높이가 내려가고, 얕은 바다가 뭍으로 변하게 돼요. 이렇게 육지가 넓어지면 육상 동물이 살 수 있는 서식처도 함께 넓어져요. 넓은 서식처를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두 개의 인공위성에서 각각 r2, r3만큼 떨어진 점을 이으면 세 가지구의 방정식이 나온다. 위성 A,B,C의 위치를 각각 (a1, b1, c1), (a2, b2, c2), (a3, b3, c3)라 할 때 식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해가 두 개 나오는데, 이중 지표면에 가까운 걸 고르면 그게 트레이너의 위치다. 이 방법을 ...
- [과학뉴스] 네이처 기후변화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주춤할 경우, 온실기체 3500억 t이 추가로 배출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는 지구의 평균 기온을 약 0.25℃ 높일 수 있는 양이다. 이 경우, 파리협정이 목표를 이룰 가능성이 기존 66%에서 50%로 떨어진다.이 연구 결과는 지난 1월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게재됐다. 네이처 기후변화는 학술지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있었다. 더 다양한 형태로도 진화했다. 예를 들어, 목이 긴 초식동물인 용각류 공룡 같은, 지구 역사상 가장 큰 육상 동물이 나타났다. 하늘을 나는 두 계통의 생물로도 분화했다. 새와, 프테로사우루스 같은 익룡이다. 프테로사우루스는 ‘하늘을 지배한 파충류’로 꼽힐 만큼 성공적으로 번성했다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