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여라, RNA 패밀리!과학동아 l2006년 10호
- 바이로이드는 독립적인 병원체로 행동하는 특이종이다. RNA 패밀리 호구조사RNA 가족의 총 호구 수는 얼마나 될까? 정답은 ‘며느리도 모른다’. 바이러스의 일종인 박테리오파지에만 있는 pRNA, 세균에서만 발견되는 tmRNA 등 새로운 RNA가 심심치 않게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5월에도 새로운 ... ...
-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과학동아 l2006년 09호
- 에 수백개 이상의 소자를 집적한 회로 어느 정도 전기전도성을 발현하는 고분자화합물의 총칭 고분자 재료에 구리 · 은 · 흑연 등의 도체를 분산시킨 것은 이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미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에 열처리나 방사선처리를 하여 π전자를 생성하거나 증가시킨 것, π전자를 가진 ... ...
- 우주로 날아가는 999 기차역과학동아 l2006년 09호
- 그들은 은하철도 999를 상징하는 99.9m로 정했다.선로 각도와 마지막 교각의 높이에서 총 길이가 260m로 나왔다. 교각은 모두 13개였다. 교각과 교각 사이는 20m로 정해졌다. 은하철도 999가 모델로 삼은 일본의 옛날 열차도 차량 하나의 길이가 약 20m였다. 무게는 215톤, 기관차의 길이는 27m였다.보통 기차 ... ...
- 커플이 싱글보다 안전한 이유과학동아 l2006년 09호
- 운동량의 합이 0이 되는 것이다. 물론 총이 더 무겁기 때문에 총이 밀려나는 속도는 총알의 속도보다 작다.이제 자동차 보조석에 사람이 있을 때 치사율이 낮은 이유를 따져 보자.보조석에 애인을 태우자운전자를 포함한 자동차 A의 질량 ${m}_{1}$과 자동차 B의 질량 ${m}_{2}$가 모두 1400kg이고, 처음 ..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과학동아 l2006년 08호
- 수 있다 자연계에는 약 80종의 아미노산이 있으나, 사람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총 20개다게놈의 전체 염기 중에서 유전자 지역을 말한다 생물체의 게놈은 유전자를 지정하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이 있다 ORF를 인식하는 염기서열은 미생물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쉬운 예로 시작 ... ...
- 종기가 사람 잡네과학동아 l2006년 08호
- 과잉 분비), 농포(고름 주머니), 구진(발진), 면포(피지 주머니) 5개 항목을 조사했다. 총 실험 기간은 8주로 실험이 끝난 뒤 치료 효과를 5단계(현저히 개선, 개선, 조금 개선, 불변, 악화)로 나눠 평가했다. 최종 유용성 판정은 전반적인 개선도와 부작용을 고려해 4단계(매우 유용, 유용, 조금 유용, ...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8호
- 을 만들었다.동양 최고의 한의학자 허준(1539〜1615)조선 중기의 한의학자. 1613년 총 25권에 이르는 동양 최고의 의서 ‘동의보감’ 을 완성한다. 오랜 세월의 연구와 치료 경험, 의학에 대한 열정으로 만든 동의보감은 조선과 중국의 모든 의학 전통을 담고 있으며 오늘날에까지 한의학의 처방전으로 ... ...
- 식중독의 재구성과학동아 l2006년 08호
- 손에는 항상 병원균이 묻기 마련이다.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대개 일시적인 균총(菌叢)으로 손을 씻을 때 대부분 떨어져 나간다. 비누를 사용해 15초 이상 제대로 씻으면 세균의 80%가 사라진다. 손을 제대로 씻기만 해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뜻이다.화장실에서는 손 씻는 센스를지난해 10월 ... ...
- 나노 분자 헤쳐 모여과학동아 l2006년 07호
- 탱크가 터지면서 급속히 냉각된 미래 로봇 ‘T-1000’은 ‘T-800’(아놀드 슈왈제네거)이 쏜 총을 맞고 산산조각난다. 하지만 뿔뿔이 흩어졌던 금속파편은 온도가 올라가자 액체가 되면서 하나로 뭉치기 시작한다. T-1000이 다시 살아난 것이다. 이처럼 분자가 스스로 모여 특정한 구조를 만드는 현상을 ...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과학동아 l2006년 07호
- 사람의 얼굴은 우주생활에서 어떤 식으로 바뀔까.한국 최초 우주인에 지원한 사람이 총 3만명 돌파를 앞둔 지난 6월 15일 서울대 호암생활관에서는 우주인의 임무를 개발하기 위한 첫 모임인 ‘한국우주인 임무개발 컨퍼런스’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연구소, 대학, 기업의 관련 전문가들은 우리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