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메이커 페어의 창립자 데일 도허티는 메이커 문화에서 중요한 세 가지 요소로 ‘즐기고(Play) 연습하고(Practice) 참여하는(Participation)하는’ 것을 꼽았다. 2016년 월드 메이커 페어 역시 이 말에 충실했다. 메이커들은 자신들이 무언가를 만드는 과정을 즐겼고, 실패에서 배우면서 끊임없이 노력해 완성 ...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송준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자료를 찾던 중 그의 이력에 눈이 갔다. 송 교수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8년 6개월 정도를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교수로 지냈다. 일리노이대는 도시환경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학교다. 그 좋은 자리를 마다하고 그가 서울대에 부임 ... ...
- [새 책] “ 나, 리처드 도킨스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항목을 클릭했다. 백발에, 과연 눈빛이 또렷하고 자신만만한 미소를 짓고 있는 그의 사진이 한 장 나타났는데, 붉은 가슴팍이 특이해 봤더니 홍학이 수 놓인 백색 넥타이였다. 그리고는 책을 펼쳤더니 우연히도 바로 그 넥타이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최근 출간된 리처드 도킨스의 자서전 이야기다. ... ...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코드 특수임무 조사선(ECORD MSP)’까지 총 세 대예요. 조이데스 레졸루션(왼쪽 큰 사진)은 다양한 곳을 탐사하는 데 사용돼요. 깊은 곳을 탐사할 땐 지큐호가, 북극처럼 탐사가 어려운 지역은 특수임무 조사선이 나서지요.이 탐사선들 중 지큐호는 유일하게 지구 맨틀을 채취할 수 있는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과학자들은 우주를 더 깊이 들여다보기 위해 지금도 열심히 연구 중이다.그리고 목 빠지게 기다리고 있는 게 있다. 바로 차세대 망원경의 완성이다. 지금보다 ...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 ...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주사위를 굴려 미뉴에트를 작곡했고,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은 자신의 곡을 연주자가 무작위로 골라 연주하도록 했다. 이처럼 창작에 우연을 도입한 음악을 ‘우연성 음악’이라고 한다. 이런 우연성 음악을 백만 곡이나 만든 학생들이 있다. 그 사연을 한번 들어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개발하는 ‘케어오봇(Care-o-bot)’과 일본의 소프트뱅크 로보틱스의 ‘페퍼(오른쪽 사진)’는 머리와 눈을 일부 움직이며, 팔과 손을 가지고 동작을 하고, 바퀴로 이동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이다.이 로봇들은 아직은 간단한 대화를 하고 상점을 안내하는 등의 활동을 한다. 하지만 앞으로 훨씬 ... ...
- [Photo] 탄자나이트(Tanzanite) 떠오르는 탄자니아의 희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그 결과 발색 원소들이 기존 암석과 화학적으로 결합해 새로운 보석 광물이 탄생한다. 사진 속 탄자나이트도 바나듐의 영향으로 푸른색을 띠게 됐다.가난과 영양 부족에서 벗어날 새로운 희망탄자니아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지 50년이 갓 넘은, 역사가 짧은 나라다. 인구는 약 5200만 명 정도지만,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것이다. 이탈리아 경찰은 그 사진을 젊은 시절 마요라나의 사진 및 아버지 등 가족의 사진과 비교 분석한 결과, 마요라나가 맞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이미 50년 전의 일로, 마요라나의 행방을 찾을 수는 없었다. 이미 나이가 들어 사망하고도 남았을 시점이었기 때문이다. 마요라나가 남긴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권태준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의 연구실은 마치 수산시장을 방불케 했다. 거대한 수조에 여러 마리의 개구리들이 나눠져 들어가 있었다. 물위에 둥둥 떠있는 개구리들은 마치 죽은 것 마냥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 “혹시… 죽은 건 아니겠죠?” 조심스레 묻자 권 교수는 “이래 보여도 실험실을 나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