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뉴스
"
제어
"(으)로 총 2,730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지키는 물질 ‘파이토케미컬’ 사람 질병도 막는다
2014.08.11
박사팀과 공동으로 식물에서 유래한 ‘파이토케미컬’을 이용하면 암이나 노화 등을
제어
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할 수 있다고 11일 밝혔다. 파이토케미컬은 식물에서 유래한 화합물로 건강 개선과 암이나 뇌졸중, 노화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자들은 이 물질이 ... ...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은 기계 구동장치 나온다
2014.08.06
지금까지는 인공근육을 개발할 때 내부에 전기(이온)가 흐르는 통로의 크기나 형상을
제어
하기 어려워 성능 향상이 어려웠다. 특히 내부에 딱딱한 금속 전극을 사용해 유연성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온성 고분자에서 사용되는 금속 전극 대신 마치 동물의 근육처럼 전기 신호가 ... ...
구닥다리 생산기계에 전자칩 꽂아 스마트 기계로
과학동아
l
2014.07.29
탑재했다. 또 열이나 진동으로 인한 변형을 동적으로 예측하고 보정할 수 있는 수치
제어
기(CNC)를 지능화시켜 자동으로 원하는 크기로 물건을 깎을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역진동을 이용해 진동으로 인한 기계 떨림도 대폭 억제시켰다. 공구의 절삭력을 자동 감지해 적정 시점에 공구를 교환 할 ... ...
세포막의 ‘포장의 기술’ 드디어 밝혀져
과학동아
l
2014.07.28
자기 자리를 찾아간다는 점도 발견했다. 이 교수는 “지질 뗏목의 모양과 위치를
제어
하면 세포의 신호 전달을 조절할 수 있다”며 “이는 신약 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나 파킨슨 병 같은 신호 전달 관련 질환의 발병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담뱃잎에서 찾은 치매 치료제 임상 돌입
과학동아
l
2014.07.28
치료 물질이 전문 의약품 회사에 기술이전 된다. 김명옥 경상대 생물학과 교수(치매
제어
기술개발융합연구단장)는 28일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브리핑을 열고 “노인성 알츠하이머 등 치매 치료가 가능한 천연 단백질을 한국파마로 기술이전 했다”고 밝혔다. 국내 노인성 치매환자 수는 58만600 ... ...
구글보다 좋다, 이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4.07.25
눈물 속 포도당 수치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미세관과
제어
시스템 등도 아주 낮은 전력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돼 구글의 것보다 진화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송 연구원은 “세부 기술을 다 확보했으며 의료 기기 허가도 무난할 것으로 보여 5년 ... ...
당신이 모르는 에센스 방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07.22
비례한다는 것이 확인됐다. 젖음주름은 나노미터 수준으로 작고 다양한 모양으로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결과는 특수 목적의 나노구조물 제작에 응용될 수 있으며, 반도체 부품 항공기 부품의 표면처리에도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제 교수는 “생체조직 대부분이 ... ...
[단독]태극전사 실패한 8강 신화, 로봇으로 이룬다
과학동아
l
2014.07.21
어덜트 리그의 난이도가 가장 높다. 휴머노이드는 키가 클수록 무게중심이 높고
제어
도 까다로워 잘 넘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덜트 리그는 1대 1로 승부차기 형태의 시합을 벌인다. 틴에이지 리그는 2대 2로 슛, 패스 등의 시합을 벌이지만 로봇이 잘 넘어지며 게임진행도 더디다. 가장 인기 ... ...
이런 게 ‘일석이조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4.07.16
것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는 “다이오드 하나로 원하는 대로 저항을 조절해 전류를
제어
하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소자나 센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적은 에너지로 수소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는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콩 심은 데 콩 나고, 그래핀 심은 데 그래핀 난다
과학동아
l
2014.07.15
Carbon NanotubeㆍCNT)가 사실은 원통이 아니라 나선형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이재갑 KIST 계면
제어
연구센터 박사팀이 그래핀과 관련한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래핀 ‘씨앗’을 이용해 그래핀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과 X선을 이용해 그래핀이 순수 그래핀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새로운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