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국내 프로테오믹스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우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울대 의대 등 국내 150개 기관에 있는 353개 연구 그룹의 시료 분석을 돕고 있다. 지난 6년간 약 4000여 건의 분석 서비스를 제공했다. 국내 프로테오믹스 연구의 기반을 제공한 것이다.연구원은 또 국내 최대 ... ...
- 새처럼 노래하는 쥐,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지저귀는 쥐가 탄생했어요. 일본 오사카대학교 생명공학대학원의 야기 다케시 교수팀이 새처럼 노래하는 쥐 100마리를 만들었답니다.연구팀은 ‘진화 쥐 프로젝트’ 실험의 하나로, 일부러 쥐가 유전정보 물질인 DNA를 잘못 복제하도록 해서 돌연변이 쥐를 만들었어요. 그런 다음 돌연변이 쥐끼리 ... ...
- '수학 밖에서 수학 보기'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김희준 서울대 화학과 교수는 융합형 과학의 ‘우주와 생명’을 이해하는 데도 수학이 핵심적 역할을 한다고 소개했다. 즉 20세기 초 천문학자들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주기함수)을 이용해 외부은하의 거리를 구하고, 은하들은 지구에서 거리가 ... ...
- Part 4. 외계생명체 탐사 연대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인류가 외계생명체라는 개념을 처음 품은 것은 아주 오래 전, 지구가 둥근지 평평한지도 모르던 시절의 일이었다. 이후 지구와 우주에 대한 지식은 점점 늘어났고, 2000여 년이 지난 ...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Part 4. 외계생명체 탐사 ... ...
-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더 단단하고 영구적인 상태로 보전하고 복제할 수 있다. 이들은 조각품에 영원한 생명을 불러 놓는 또 다른 예술가라 할만하다.이순신 장군은 이곳에서 기술자들의 손길을 받아 고르지 못했던 용접 부위를 말끔하게 정리하고 균열이 있던 부분은 새로 뜬 주물 조각으로 갈아입었다. 과거에는 전기 ...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과학동아 l2011년 01호
- 합성한 뒤 다른 세균의 몸통만 빌려 합성생물체를 처음 만들었다. 과거에 없던 인공생명을 만들어 낸 것이다. 프로그램과 인간을 오가는 일도 현실이 될지 모를 일이다. 과거에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1982년에는 전편의 이야기가 허무맹랑했지만, 2010년 트론의 이야기는 ... ...
-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 Q&A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다양한 분야가 접목된다는 걸 배우며 독서량도 많이 늘었다.“영재고에 들어올 때는 생명공학을 연구하고 싶다고 꿈을 말했어요. 하지만 들어와보니 배울수록 더 많은 분야가 있고, 하고 싶은 일이 많아졌어요. 자연스레 과학뿐 아니라 인문사회까지, 많은 책을 읽고 있어요.”때로는 밥먹을 새도 ...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과학자들이 ET와 손잡고 걸어 들어오기를 기대하던 사람들이 매우 실망하고 있다.” [과학자들의 추측에 따르면 유로파(목성의 위성)의 얼음 아래에는 액체 상태의 바다가 존재한 ...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Part 4.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Part 5. 외계생명체 탐사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과학에 활용하기 시작한 초반에는 자연물이 접히는 모습을 따라한 생체모방이 많았다.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가 단백질 조각을 접어 캡슐을 만들고 그 안에 유전정보를 넣는 것을 흉내 내 체내에서 약물이나 나노입자를 운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단백질보다 더 작은 분자를 접기도 ...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인간과 똑같이 지구의 생명체로 태어나 같은 연대를 살아가고 있다. 고양이는 외계생명체도 마녀의 동물도 아닌 존재로 그저 우리 곁에 살아갈 뿐이다. 잘못이 있다면 하필 전 세계에서 고양이가 가장 천대받는 한국에서 태어났다는 것이다. 내가 아는 한 길고양이는 결코 위협적인 ‘떠돌이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